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은행권 DLS·DLF 사태

DLF 홍역 치른 금감원, 은행 판매임원과 ‘핫라인’ 만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금융감독원. 한국일보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대규모 손실을 일으킨 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등의 재발을 막기 위해 은행의 임원진과 ‘핫라인’을 만든다. 고위험 상품을 판매하는 시중은행들의 책임자를 직접 감독하겠다는 취지다.

금감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2020년도 검사업무 운영계획을 20일 밝혔다. 이 계획에 따르면 금감원은 올해 목표를 ‘내부통제’에 두고 검사활동을 하기로 했다. 금융사들의 고위험 상품 영업행위를 중점적으로 살피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금감원은 은행 고위험 상품 임원과의 소통 채널을 새로 만들기로 했다. 금감원은 그 동안 은행 전체 내부통제 책임자인 은행장이나 상임감사위원과는 간담회 등을 통해 의견을 주고 받았지만, 고위험 상품 임원을 직접 접촉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해당 임원과의 주기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고위험 상품 기획 및 판매 과정에서 은행 자체적인 내부통제가 작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체적인 감시 시스템도 더욱 촘촘하게 운영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민원ㆍ미스터리쇼핑 등 상시 감시 결과, 이상 징후가 포착됐는데도 개선이 부족할 경우 곧바로 현장검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다만 감시 과정에서 취합한 정보에 따라 위험 수준을 판단하고 △경영진 면담 △소비자경보 발령 △부문검사 실시 등으로 수준별 대응에 나선다.

금감원은 또한 해외부동산ㆍ헤지펀드 등 고위험 상품의 유통 과정도 꼼꼼히 살피기로 했다. 상품의 설계는 물론 판매, 이후 사후 관리 등 전 과정이 금감원의 검사 대상이다. 특히 DLF 사태처럼 이해가 어려운 파생상품을 판매할 때 설명 의무는 충분히 이행했는지, 영업준칙은 제대로 지켰는지 확인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새로 출시된 펀드 상품이나 갑자기 판매가 늘어난 펀드 상품 등에 대해서는 자산운용 전략 및 투자자 정보제공 적정성이 검사의 주요 기준이 될 것”이라며 “저금리 환경에서 고위험 투자 상품 노출 가능성이 높아지는 만큼 금융사의 상품 판매 추이를 유심히 살펴보고 검사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무 기자 allclear@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