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동북아 해양수도의 미래, 신산업에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연, 핵심과제 제시
2022년 시장규모만 2370억달러
"해양바이오·극지사업 등 키워야"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의 신성장동력으로 해양바이오, 극지산업, 해양과학기술, 해운항만물류·수산업과 같은 성장성이 높은 해양신산업을 집중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부산연구원은 20일 BDI 정책포커스 '해양신산업, 동북아 해양수도 구현의 신성장동력' 보고서를 통해 해양신산업 육성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이를 위한 핵심과제를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해양수산분야 신산업 시장규모는 2017년 1638억 달러, 2022년 2370억 달러, 2030년 4749억 달러로 성장이 전망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허윤수 선임연구위원은 "이같은 해양신산업 시장규모 확대와 미국·EU·일본 등 주요 선진국의 해양신산업 육성을 고려할 때 부산이 동북아 해양수도 구현을 위한 신성장동력으로 해양신산업 육성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부산의 유망 해양신산업으로는 전통 해양산업 고도화 분야에 해운항만물류·수산, 동삼혁신도시 연계 신산업에 해양과학기술·해양바이오·극지산업이 꼽혔다. 지역 특화 강점 해양산업, 해양관련 이전기관 협업·동삼혁신지구 연계 요인을 고려한 지적이다. 허 선임연구위원은 부산 해양신산업 육성의 핵심과제로 해운항만물류산업 혁신플랫폼 조성, 수산 첨단 스마트 기술·기자재 센터 설립, 해양공간 스마트 활용 시토피아 시범사업, 수산부산물 바이오플랫폼 조성, 극지산업 연구개발(R&D )센터 설립을 제시했다.

해운항만물류의 경우 부산의 전통 해운항만물류산업이 대부분 영세한 현실을 고려할 때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과 연계할 수 있는 혁신플랫폼 조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수산분야는 부산시가 국내 최초로 추진 중인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조성 사업 활성화를 위해 첨단 스마트 수산기자재 관련 기술·시스템의 개발·보급 확대가 요구된다. 해양과학기술분야는 해양공간을 스마트하게 활용하기 위해 시토피아(Sea+Utopia) 시범사업 추진이 필요하다.

해양바이오 분야에 대해서 허 선임연구위원은 수산부산물 바이오플랫폼 조성을 제시했다. 그는 "수산부산물을 이용해 다양한 고부가 산업용·의료용 소재를 생산할 수 있는 첨단 복합소재 생산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통해 자원순환경제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극지와 관련해서는 극지산업 연구개발센터 설립이 제시됐다. 그는 "극지·해양 진출 허브도시로서 극지지역 해양산업 연구기능을 특화하는 극지산업 연구개발센터를 조성해 부산시에서 계획을 추진하는 극지타운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roh12340@fnnews.com 노주섭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