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7 (금)

정세현 “기고만장 美대사, 우리도 책임…외교상 기피인물 분류할 수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향한 식민지 근성 반성할 대목

美 따라가지 말고, '정면 돌파' 해야

북, 美와 옥신각신 장면 유심히 볼 것

대북정책 적극 추진시 北 호응 가능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은 20일 최근 문재인 정부의 대북(對北)정책 구상에 경제성 발언을 내놓은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에 대해 “여기 주재국의 대통령 발언을 노골적으로 반대한다고 할까, 견제구를 날리는 것은 일종의 주권 침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비분강개 하기 전에 우리의 처신을, 또 정치권 지도부급들이 그 사람의 기를 키워주지는 않았나 하는 부분도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정세현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은 이날 KBS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와의 전화인터뷰에서 이 같이 말하며 “우리가 그동안 얼마나 미국한테 정말로 속국 근성 내지는 식민지 근성을 발휘했기에 저 사람이 저러는지, 우리가 미국한테 너무 굽실굽실 하지 않았는가 하는 반성할 대목”이라고 말했다.

정 수석부의장은 해리스 대사가 국회의원들과 만나 방위비분담금에 대해 언급한 점도 꼽으면서 “분담금 이야기를 30분 동안 20번 했다고 하는데, 횟수만 세지 말고, 그 자리에서 당신네 그러면 안된다 (라는 식의 요청을 해야 하는데) 우리 정치권 지도급 인사들이 미국 대사로 하여금 기고만장하게 만든 측면은 없는지 반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며 “이른바 미국통이라고 하는 학자 등도 워싱턴 현기에 가기만 하면, 한미동맹 그 다음에 한미공조, 협조 이걸 강조하니까 이 같은 발언을 했을 거다. 그렇게 만든 책임은 우리한테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 국무부 쪽에서는 대사의 발언이 폼페이오 장관의 뜻이고 대통령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는 식으로 물타기를 하려고 하는 것”이라며 “우리가 어쩔 수 없이 따라가면 결국 미국이 하자는 대로 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밖에 안난다. 정면으로 그야말로 돌파해야 한다”고 했다.

또 해리스 대사 발언에 대해선 “이건 잘못된 거다. 그리고 외교상으로 이렇게 무례한 짓을 하면 이건 기피 인물로 분류할 수 있다”며 “비엔나협약에 PNG(Persona Non Grata)라는 게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을 봐라. 워싱턴포스터나 뉴욕타임즈, CNN 같은 언론들이 난데없이 한국 사람들이 인종적 배경 이런 것 가지고 비난한다는 식으로 이상한 말을 만들어내고 있지 않냐”면서 “자기들이 잘못한 것을 그런 식으로 해서 물타기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 부의장은 무엇보다 지금의 사항은 언론과 고위층이 방조한 측면 있다고 지적하면서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서 주한미국 대사가 견제구를 날리는데 이쪽에서는 그쪽에 다시 또 반박하고 불쾌감을 드러내면서 옥신각신하는 장면을 지금 북한이 유심히 쳐다보고 있을 것”이라고 한탄했다.

그러면서도 정 의장은 “남측 의지만 확인되면 개별관광 등에 (북한이) 호응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그는 “대통령이 신년기자회견에서 내놨던 여러 가지 (남북협력) 사업들이 있다”며 당장 UN대북제재와 무관하게 할 수 있는 사업로 DMZ의 평화지대화라든지 아니면 동경올림픽 공동 응원이라든지 또는 2032년 서울 평양 공동올림픽 등을 꼽았다.

이어 그는 “이런 것들은 돈 들어가는 일이 아니기 때문에 제재에도 해당 없고 이것을 우리가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갈 때 북한이 거기에 슬그머니 호응해나올 가능성이 있다”며 “미국이 발목 잡는 것을 확 뿌리치고 올라오면, ‘오케이 됐다. 미국이 태도를 바꿀 때까지 당분간 남쪽하고 이야기를 해가면서 숨통 좀 트이자’, 그런 식으로 나올 것 같다”고 말했다.

아울러 “5.24 조치는 풀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5.24 조치는 어쨌든 간에 이명박 정부 때 천안함 사건 때문에 나왔지만 그건 풀어야 된다”며 “사실 이게 정권 초에 풀었어야 했는데, 늦었다”고 주장했다.

이데일리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사진=연합뉴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