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선거철 테마주 주의보]`카더라` 솔깃한 개미…섣불리 쫓다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진보 vs 보수 여 vs 야…누가 되든 증시에 유의미한 영향 없어

개인비중 높은 특성상 테마주 급등락…수익률은 `글쎄`

19대 대선서 33개 종목 불공정거래…157억 부당이득 챙겨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재은 박태진 기자] 석 달 앞으로 다가온 21대 국회의원 선거(총선)가 증시 재료로 불을 뿜고 있다. 코스피지수가 최근 2270선을 터치하는 등 회복세에 나선 가운데 정치테마주는 더 기승을 부린다.

2000년 이후 5번의 총선과 4번의 대선에서 사실 선거 결과는 증시에 큰 영향이 없었다. 진보건 보수건, 여당이건 야당이건 크게 바뀌지 않았다. 다만 정치테마주는 끝까지 활개를 치다 개인투자자에게 큰 손실만을 안겼다. 정치테마주란 기업 실적과 관련 없이 주식시장에서 정치이슈에 따라 마치 특정 정치인과 관련이 있는 것처럼 풍문이 유포되거나 시세가 급격히 변동되는 종목을 말한다.

◇ 5번의 총선 4번의 대선 결과는?

20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가장 최근에 치러진 선거였던 20대 총선(2016년 4월 13일)에선 야당인 민주당이 123석으로 새누리당(122석)을 한 석 차이로 제쳤다. 그 다음날 코스피지수는 1.75% 상승했지만, 한 달 뒤엔 0.19% 되레 하락했다.

2012년 19대 총선에선 여당인 새누리당이 152석을 가져가며 여대야소를 이뤘지만, 코스피지수는 다음날 0.39% 하락했고, 한 달 뒤에도 2.48% 떨어졌다.

집권여당이던 한나라당이 과반 의석을 가져간 2008년 18대 총선 다음날엔 0.57% 올랐고, 한 달 뒤에도 5.32% 상승했다. 16대와 17대 총선에선 각각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이 우세했지만, 코스피지수는 선거 다음날 각각 1.90%, 4.32% 하락했고, 한 달 뒤 하락률은 나란히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남길남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국 경제규모(GDP)가 세계 12~13위에 달하는 만큼 총선 등 선거 결과가 주식시장 전체에 미치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면 그건 엄청난 이벤트로 수차례 보고서가 나왔을 것”이라며 “다만 정치테마주의 경우 개별 주식의 문제로 조금 다르게 접근할 수 있다”고 짚었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16~19대 대선에서 20% 이상 최종득표율을 얻은 9명 후보자 관련 정치테마주로 분류된 종목은 107개다. 이 가운데 70개(65.4%)가 5거래일 이내 20% 이상의 누적비정상수익률을 기록했다. 특히 16대 대선에서 14개이던 비정상적 가격급등 종목이 17대 10개, 18개 21개, 19대 25개 등으로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 개인 비중 높아 테마주 ‘기승’…투자 주의

최근 급등락 중인 정치테마주 대부분은 실제 해당 정치인과 직접적 연관성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치테마주로 분류된 한 상장사 관계자는 “뭐든 엮어버리면 테마주가 되는 요지경 세상”이라며 사실관계 확인에 대해서도 매우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비쳤다.

전문가들은 개인 비중이 높은 국내 증시 특성상 ‘카더라’를 타고 테마주가 기승을 부린다고 분석한다. 지난해 국내증시 수익률이 유독 소외됐던 탓에 급등하는 테마주에 눈길을 돌리는 개인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 증시는 기관투자자가 80~90%가량 차지하지만, 국내의 경우 개인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혈연, 학연, 지연 등 펀더멘털과 무관한 연결고리를 매개로 정치테마주가 급등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기준 코스닥시장에서 개인의 거래비중(거래대금 기준)은 84.4%에 달했고 유가증권시장에서도 48%로 가장 높았다.

이 때문인지 테마주 관련해 시세조종 등 불공정거래행위는 끊이지 않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017년 19대 대선 정치테마주 147개 종목 중 33개 종목에서 부정거래·시세조종 등이 적발됐고, 157억원 이상의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147개 종목의 대선일 이전 1년간 평균 주가 변동률은 25%에 달했다. 하지만 대선일이 가까워짐에 따라 20대 총선(2016년 4월 13일) 직전 수준으로 회귀했고, 대선 이후 같은 해 8월 말 현재 지수는 2.7% 상승한 반면, 정치테마주는 되레 4.0% 하락했다.

금감원은 그나마 19대 대선의 경우 대선 기간이 짧았고, 당국의 사전예방 활동으로 정치테마주 주가 변동성이 축소(18대 대선의 경우 주가변동성 62.2%)됐다고 분석했다. 자본시장연구원은 2015년 6월부터 일일 가격제한폭이 15%에서 30%로 확대되면서 상한가 굳히기 등 정치테마주 시세조종이 다소나마 줄어든 것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남 선임연구위원은 “정치테마주로 분류된 주식들은 선거기간 동안 정상수익률에 비해 이례적으로 수익률이 급등하는 경우가 빈번했고, 선거 전후로 급락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정치테마주에 투자하려는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치테마주에 투자한 개인투자자는 대부분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감독원이 지난 18대 대선을 앞두고 1년간(2011년 6월 1일~2012년 5월 31일) 테마주로 언급되며 주가가 급등했던 131개 종목에 대해 전수 조사한 결과 대표 테마주인 35곳의 주가는 평균 331% 상승했지만, 분석 기간 중 개인투자자 195만 계좌에서 1조5494억원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이 이런데도 금융감독당국은 현재 정치테마주 관련 특별조사반을 운영할 계획이 없다. 이달 말 인사를 앞두고 특별 조사반을 당장 운영하기 어려운 영향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이달 중 임원인사, 국장급 인사 등이 잇따라 계획돼 있다”며 “인사가 일단락되고 나면 테마주 관련 특별조사반 등이 구체적으로 논의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지난 2016년 4.13 총선을 앞두고 1월 9일부터 특별조사반을 운영한 바 있다.

남 선임연구위원은 “정치테마주와 관련해 투자자 주의도 요구되지만, 관련 테마주로 분류된 기업들도 좀 더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자본시장연구원은 21일 정치테마주 관련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