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지난해 근로자 주 평균 40.7시간 근무…초단기 취업자 크게 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8년 대비 주당 근로시간 48분↓

초단시간 취업자 수는 5년 만에 55%↑

이데일리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호준 기자] 지난해 근로자들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40.7시간으로 집계됐다. 초단시간 취업자수는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를 토대로 ‘2019년 취업시간별 취업자 수’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먼저 2019년 근로자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40.7시간으로 집계됐다. 2018년 주당 평균 근로시간인 41.5시간과 비교해 48분 가량 줄어들었다다. 주 52시간제 도입으로 직장인들의 주당 근로시간이 줄어든 데다, 주당 1~17시간을 근무하는 ‘초단시간 취업자’가 1년 전보다 30만명 넘게 증가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2019년 ‘초단시간 취업자 수’는 1980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큰 수준인 182만 1000명으로 조사됐다. 5년 전인 2014년과 비교하면 무려 55.1%가 증가했다.

임시직근로자나 단기 일자리의 증가로 인한 근로 시간 감소는 정규 근로자들의 실질적인 근로시간 감소와는 거리가 멀 뿐만 아니라 질 낮은 일자리가 늘어난 것에서 기인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53시간 이상 일한 ‘장시간 취업자’는 402만 7000명으로, 2014년(608만 4000명)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2014년 전체 취업자 중 53시간 이상 일한 근로자는 23.5%였으나, 2019년엔 14.8%로 8.7%포인트 줄었다.

또 남성 근로자의 지난해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43.2시간으로 2018년(43.9시간)과 비교해 42분 가량 감소했다. 여성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2019년)은 37.4시간으로 남성 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임신과 육아 등으로 인해 단축근무를 신청하는 사례가 남성보다 많은 점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주당 평균 취업시간이 가장 긴 도시는 울산광역시와 충청남도가 41.5시간으로 공동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인천광역시(41.3시간) △경상북도(41.3시간) △경상남도(41.1시간) 등 순이었다.
이데일리

(자료=사람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