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12·16 대책으로 서울 고가 아파트 가격조정 온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권화순 기자] [김성식 부동산연구원장 "서울 지역 소득 대비 아파트 가격 비정상적으로 높아"]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2·16 부동산 대책 영향으로 올해 서울지역의 고가주택 가격이 조정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대출규제로 빚을 내 집을 마련하기 어려워 지면서 학군이나 교통이 양호한 서울 지역 중심으로 전세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감정원 KAB부동산연구원은 21일 이 같은 내용의 '2019년도 부동산시장 동향 및 2020년 전망'을 발표했다.

감정원은 서울지역 주택가격 상승은 '공급 부족' 보다는 '시중 유동성'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하반기 미국과 국내 기준금리 인하와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하로 인해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해졌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국내총생산(GDP) 대비 유동성 규모는 2017년 1.38배, 2018년 1.43배에 이어 지난해에는 1.52배로 늘었다.

올해 아파트 신규 공급량은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 주택 준공물량은 매년 약 6만호에서 8만호 가량 늘고 있고 주택재고수는 2015년 286만5000호에서 2018년 300만8000호로 증가했다. 서울의 준주택 증가분(신규-멸실)은 2016년 3만8000호, 2017년 6만5000호, 2018년 4만호를 기록했다.

올해 서울 입주물량은 4만1000호로 예상된다. 특히 강남구를 포함한 동남권은 1만2000만호가 입주 예정으로 서남권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감정원은 소득 대비 아파트 가격 비율(PIR)은 전국 기준으로는 안정적이라고 봤다. PIR은 소득 대비 주택가격의 괴리를 알 수 있는 지표로, 전국 PIR은 2016년 5.2, 2017년 5.5, 2018년 5.6을 기록했다.

반면 서울의 경우 같은 기간 9.1, 10.2, 10.9로 전국 대비 높았다. 김성식 감정원 부동산연구원장은 "우리나라 PIR 배수가 뉴욕이 5~6, 중국 베이징, 싱가폴 캐나다 벤쿠버 등 비정상적 상황 제외하면 대체로 수도의 PIR 수준이 5~6. 국가 평균은 3~4정도"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서울이 10.9인데 소득에 비해 집값 수준이 과도하게 높고, 비정상적"이라며 "소득이 올라 집값이 오르는 것은 국가적 축복인데 문제는 소득 뒷받침 없이 집값만 높게 올라 전국민이 피해를 볼 수 있다 보니 정부가 투기 수요를 줄이려고 개입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감정원은 12·16 대책 영향에 대해 "고가주택 대출규제 등 투자수요가 억제돼 과도하게 상승한 주택가격이 조정될 것"이라며 "구매력이 줄어든 일부 시장 참여자들은 전월세 시장에 머물며 학군이나 교통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수요가 증가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권화순 기자 firesoo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