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대 문인화가·시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세먼지 없는 맑은 날이었다. 머리도 식힐 겸 카메라를 들고 나섰다. 산동네 골목을 이리저리 돌아다니다가 작은 슈퍼 앞에 앉아 막걸리를 한 병 사서 마시며 지나가는 사람들을 구경했다. 사람들을 쳐다보며 그들의 인생을 엉터리로 짐작하는 재미가 좋았다. 저 사람은 시골에서 상경해 자취하는 대학생이겠고, 저 사람은 머리를 써서 일하는 직장인, 머리가 헝클어진 저 사람은 실업자…. 그러다가 지나가는 꼬마들에게는 웃으며 무단히 손을 흔들기도 했다. 꼬마들은 곧잘 함께 손을 흔들어주었다. 심지어 유모차 안의 아기도 낯선 사람에게 응답해 손을 흔들었다. 그러면 또 유모차를 밀던 아주머니도 빙긋이 웃어 주는 동네, 마음이 따스해지는 동네였다. 흔히 ‘이발소 그림’이라고 부르는 어떤 서정적인 그림 속 한가운데 앉아 있는 느낌이 들었다.
풍경을 바라보다가 내가 그만 풍경이 돼 버린 듯한 착각을 하며 막걸리 한 병을 비웠다. 슈퍼 점원에게 화장실 있는 곳을 물어보았다. 가게를 봐야 할 텐데도 점원은 일부러 나와서 길 건너까지 나를 데리고 가더니 “이쪽으로 쭉 가다가 저쪽으로 가서 저기 왼쪽으로 꺾으면 미장원이 나와요. 거기서 다시 오른쪽으로 가다가 개집 뒤로 돌아가면 돼요”라고 친절히 가르쳐 주었다. 먼먼 길 미로를 지나 화장실을 찾아가다가 일을 저지를 것 같았지만 미안한 맘이 들 정도의 친절한 안내 덕분에 무사히 다녀왔다.
막걸리를 한 병 더 사려고 계산대 앞에 섰다. 장난을 치다가 들어왔는지 땀을 뻘뻘 흘리는 남학생 둘이 음료수 두 병 값을 계산하고 있었다. 점원이 카드를 긁다가 “잔액이 없는데요”라고 말하자 카드를 내밀었던 학생이 작은 목소리로 옆에 선 학생에게 “너 돈 좀 있냐?”라고 물어보았다. 옆에 선 학생이 머뭇거리며 “없는데…”라고 답했다. 순한 눈망울을 굴리며 곤란해하는 두 학생을 구해 주고 싶었다. 막걸리 값을 계산하라고 점원에게 카드를 내밀며 두 학생의 음료수 값도 함께 계산해 달라고 빠르게 말했다. 음료수를 받아 든 두 학생이 음료수 한 번 나 한 번 번갈아 쳐다보며 수줍어하면서도 고맙다는 인사는 끝내 하지 않았다.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들에게 음료수 두 병 값은 적지 않은 돈인 모양이었다. 큰돈을 거저 받은 이해할 수 없는 황당한 상황이 그들에게 닥친 것이었다. 막걸리 마시는 내 주변에서 우물쭈물하며 한참 머물러 있기에 어쩌나 보려고 일부러 가만히 있었더니 역시 고맙다는 인사를 하지 못하고 가버렸다. 넉넉하게 사는 집 아이들 같았으면 대수롭지 않은 음료수 두 병을 받아 들고 깔깔대며 아저씨 고마워요, 아저씨 짱, 어쩌고저쩌고 해대며 막 까불었을 텐데.
시간이 얼마나 지났을까. 막걸리를 다 비우고 얼큰해 일어서려는데 떠났던 두 학생이 자전거를 타고 급하게 돌아왔다. “무슨 일이니” 하고 묻자 카드를 냈던 학생이 주머니에서 천 원짜리 한 장을 꺼내 내밀었다. “저어, 아저씨, 가다가 보니까 천 원이 있었어요. 죄송해요.” 술에 취한 나는 나도 모르게 녀석의 손을 덥석 잡고 “야, 인마, 이리와 봐” 끌어당겨 포옹하며 좀 서러워졌다. 그까짓 천 원 그냥 모르는 척하고 가버리지. 천 원을 크게 생각하는 녀석들이 고마웠다. “아저씨는 이 돈 받기 싫다. 음료수 두 병은 선물이야, 아저씨에게 이 돈을 주는 건 아저씨 선물을 거절하는 거야. 그러면 안 돼. 어여 가, 공부하지 말고 놀러 다녀, 안녕!”
천 원짜리를 징그러운 벌레 잡듯 들고 녀석들은 또 인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쭈뼛거리며 자전거 방향을 돌렸다. 큰소리로 “잘 가”라고 했더니 자전거를 타려다 말고 그제야 “고맙습니다. 안녕히 계세요”라고 수줍게 인사를 했다. 나는 속으로 중얼거렸다. ‘그래 잘 가, 사랑한다, 너희들과 너희들 같은 순한 세상을.’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