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기자24시] 군위군수 몽니에 신공항 난기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지난 22일 주민투표 결과가 나오면서 연착륙할 것으로 보였던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사업이 예상치 못한 '난기류'를 만났다. 공동 후보지(군위 소보면·의성 비안면)가 압도적 점수 차로 단독 후보지(군위 우보면)를 제쳤지만 김영만 군위군수가 불복하며 '몽니'를 부렸기 때문이다.

김 군수는 이날 공동 후보지 인정을 거부한 채 국방부에 단독 후보지인 우보면에 대한 공항 유치 신청서를 냈다. 의성군은 군공항 이전 특별법에 따라 공동 후보지여서 김 군수가 소보면에 대해 유치 신청을 하지 않으면 이전지 최종 심사에서 제외되는 어이없는 상황에 직면한다. 그동안 우보면 단독 후보지를 공개 지지해온 김 군수는 주민투표 결과를 두고 "우보의 찬성률(76%)이 소보(26%)보다 높아 유치 신청을 했다"는 궤변을 내놨다. 애초에 주민투표 결과에 승복할 생각이 없었던 것처럼 보이는 대목이다.

돌발 변수가 생기자 지역민들은 "왜 쓸데없는 돈을 들여 주민투표를 했느냐"며 원성을 쏟아내고 있다. 주민투표는 지난해 11월 군위·의성 주민 200여 명이 2박3일간 모여 '숙의형 조사'를 통해 결정됐고 김 군수도 동의한 것이다. 진통 끝에 마련된 합의를 김 군수가 무시하자 지역민들은 허탈감을 넘어 분노를 토로한다.

의성군은 이번 주민투표에 5억8000만원, 군위군은 3억3300만원의 혈세를 썼다. 이 돈은 고스란히 국방부 부담으로 넘어간다. 갈등 지속에 따른 사회적 비용까지 감안하면 유무형 손실이 막대하다.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해 김 군수가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되자 신공항 건설에 차질이 생긴다며 석방 탄원서를 써주기까지 했던 터다.

주민투표에서 승리한 의성군이 법적 소송에라도 나서면 신공항은 또다시 표류할 공산이 크다. 국방부가 '두 지자체가 합의되지 않았다'며 용지 확정을 기약 없이 미룰 수도 있다.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 군위군수, 의성군수는 머리를 맞대야 한다. 탈락 지역 지원과 민심 수습 등을 논의해 해법을 찾아야 한다. 이러다 자칫 새로운 하늘길을 열어 지방도시의 한계를 넘겠다던 대구·경북의 희망이 물거품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서다.

[전국취재부 = 우성덕 기자 wsd@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