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사료 속 우산도 오류 이해해야 독도가 보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라이트 “우리 땅 아냐” 공격 빌미 돼
저자 “안용복·정상기가 오류 바로잡아”
서울신문

1500년대 중반에 나온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우산도가 울릉도의 서쪽에 있다.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우리나라 고지도 속 ‘독도’는 ‘우산도’로 표기됐다. 그래서 우리 모두 ‘독도=우산도’로 알고 있다. 그러나 언뜻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 고지도에는 우산도가 울릉도 서쪽에 있거나 울릉도 동쪽 가까이에 실제보다 크게 그려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본을 비롯한 한국의 ‘뉴라이트’는 이를 빌미로 우산도는 독도가 아니라고 역공한다. 지난해 출간돼 사회적 논란을 부른 ‘반일종족주의´(미래사)도 “어떤 지도에서는 독도가 울릉도의 서쪽으로 나오고 어떤 지도에서는 북동쪽으로 나온다”며 독도는 우리 영토가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서울신문

실학자 정상기가 1740년대에 제작한 ‘동국대지도’ 필사본. 우산도가 울릉도의 동쪽에 그려져 있다.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간 ‘우산도는 왜 독도인가’(소수출판사)는 고지도를 포함한 우산도 관련 문헌을 체계적으로 정리·분석해 우산도가 왜 독도인지 조목조목 밝힌다. 측량 기술이 발달하지 않은 시대의 지도 제작 방법, 하나의 섬이 어떻게 국가의 공식 인정을 받고 국가 표준지리지에 수록되는지도 살핀다.

예컨대 1463년 정척과 양성지가 제작한 ‘동국지도’에는 우산도가 울릉도 서쪽에 울릉도와 비슷한 크기로 그려졌다. 저자는 이와 관련, “동국지도는 당시 정설인 ‘신찬팔도지리지´를 따랐는데, 독도인 ‘우산(도)´, 울릉도인 ‘무릉(도)´ 순으로 기재해 우산도가 울릉도 서쪽에 위치하게 됐다”고 설명한다. 근대 이전에는 대개 현장을 직접 살피지 않고 기존 지리지나 지도 정보에 기초해 지도를 만들었기 때문에 이런 일이 종종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 사실이 제대로 잡힌 것은 1693년 안용복과 박어둔이 울릉도에 갔다가 일본에 납치되는 사건이 벌어지면서다. 일본은 그들이 ‘죽도’라고 부른 울릉도에서 조선 어민이 어로 행위를 하지 못하게 해 달라고 요청한다. 그러나 조선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을 통해 울릉도가 조선 땅임을 분명히 밝혔다. 안용복은 3년 뒤 일본에 직접 찾아가 이 문제를 따지는데, 조선은 이 과정에서 울릉도 동쪽에 ‘자산도’(子山島)가 있음을 새로이 알게 된다. 저자는 ‘자산도’의 ‘자’(子)는 ‘우산도’(于山島)의 ‘우’(于)의 오기라고 설명했다. 이후 실학자 정상기가 이익의 ‘성호사설’에서 이를 인지하고 1740년대 ‘동국대지도’를 제작하며 울릉도 서쪽에 그려졌던 우산도를 동쪽으로 바로잡은 것을 근거로 댔다.
서울신문

저자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우리 연구자 일부가 당시 고지도 제작 과정을 모른 채 일부 사료만 인용하며 ‘독도=우산도’를 너무 쉽게 주장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이는 오히려 일본에 빌미를 주는 꼴”이라고 밝혔다. 그는 “책을 통해 쉬운 설명의 오류를 경계하고, ‘독도=우산도’라는 사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