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7 (화)

[사설] 방역 시설·인력 획기적 확충 없인 대유행 차단 어렵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어제 경북 청도 대남병원에서 국내 첫 사망자가 사후검사에서 확인됐고, 확진자는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53명이 추가돼 총 104명으로 늘었다. 방역 둑이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방역당국도 “지역사회 확산이 시작하는 단계”라고 인정했다.

대구·경북 신규 확진자 상당수는 31번 환자가 다니는 신천지 대구교회의 신도로 확인됐다. 문제는 31번 환자의 증세 발현 이후 함께 예배를 본 사람이 1000명을 넘는다는 데 있다. 이 교회가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 당시 60명의 환자가 발생한 삼성서울병원처럼 ‘슈퍼 전파지’가 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전파 속도와 양상을 감안할 때 기존 방역체계는 한계에 도달했다. 장기전으로 흐를 개연성이 높아지는 형국이다. 청와대와 정부·여당은 섣부른 낙관론이 화를 키웠다는 지적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머지않아 종식될 것”(문재인 대통령), “이제 잡혀가고 있다”(이낙연 전 총리)는 등 초기 방역에 선방했다는 자화자찬이 안이한 대응으로 이어지지 않았는지 돌아봐야 할 것이다.

정부는 이제 비상 상황에 걸맞은 최고 수준의 대응에 나서야 한다. 위기경보 수준을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해야 한다. 대구·경북지역에선 음압병상, 의료진이 부족해 아우성이다. 환자 동선을 파악하고 접촉자를 관리해야 할 역학조사관은 모두 8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대구 일선 보건소에선 진단 키트가 부족해 검사를 받으려고 찾아온 주민 상당수가 발길을 돌려야 했다. 방역 장비와 시설, 인력을 획기적으로 확충하지 않는 한 대유행 차단은 기대하기 어렵다. 당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정부와 지자체, 의료기관의 공조체계 확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보건소와 공공병원, 상급종합병원 등 의료기관별 역할 분담도 절실하다. 경증 환자까지 대형병원으로 몰려 중증 환자의 진료가 늦어지는 사태는 막아야 한다. 경증 환자는 보건소와 공공병원이, 중증 환자는 국가 지정 음압격리병동이나 상급종합병원이 치료하는 방안을 제도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공공의료기관을 중심으로 권역별 전담 병원을 지정하는 것도 서둘러야 할 일이다. 전면전으로 확대된 코로나19 방역전은 사후 수습 방식의 대응으로는 한계가 있다. 정부가 방역 자원을 총동원해 선제적 대응에 나서야 방역전에서 이길 수 있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