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서울시, 대학·자치구와 중국 유학생 입국 관리... 2주간 격리 시설 없어 사실상 효과 낮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박원순 서울시장.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대학, 자치구와 함께 '서울시 중국입국 유학생 공동대응단'을 구성, 코로나 바이러스 감영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입국 단계를 관리한다. 다만 입국 후 중국 유학생 별도 거주 시설은 확정되지 않아 사실상 큰 효과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25개 자치구, 중국 유학생 입국이 예정된 49개 대학교와 '서울시 중국입국 유학생 공동대응단'을 구성, 국내 입국 예정인 중국 입국 유학생을 입국단계부터 지원한다고 21일 밝혔다. 중국인 유학생 뿐 아니라 중국을 거쳐 입국하는 유학생을 포함한다.

서울시와 대학은 중국에서 유학생이 입국할 때 공항→학교까지 셔틀을 운행한다. 각 대학에서 학교버스, 콜밴 등을 운영하고, 자체 해결이 어려운 학교의 경우 자치구가 지원하고 시가 셔틀운행 관련 비용을 지원한다. 입국이후 이행사항, 생활수칙 등을 담은 유학생 생활지침도 특별입국 검역단계, 입국장 등에서 배포한다.

다만 입국 유학생의 거주공간은 아직 구체적으로 확정되지 않았다. 현재 기숙사에 거주하지 않는 중국 유학생은 사실상 관리가 불가능해 코로나19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학교당 많게는 수천명에 달하는 중국인 유학생을 관리할 대학 인력과 시설이 부족하다. 서울시가 지원하겠다고 밝힌 인재개발원의 경우 코로나19 의심증상자에 한해서 거주 가능하다. 서울시는 임시거주공간 지원대상은 입국 시 의심증상자 중 음성 판정을 받은 유학생, 확진자와 접촉한 것으로 판명돼 자가격리 통보를 받았으나 갈 곳이 없는 유학생 등을 우선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대학과 호텔과 모텔을 통째로 빌려 중국인 유학생 임시 거부 시설로 마련하려고 논의 중이나 확정되지 않았다”며 “당장 중국 학생을 강제 격리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고 말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서울소재 대학교를 다니는 중국인 유학생은 68개 대학교 3만8330명이다(사이버대학교 제외 시 49개 대학교, 3만4267명). 서울시는 앞으로 입국 예정인 중국 유학생은 1만7000여 명으로 예상했다.

이미 코로나19 확진환자가 156명에 달하는 만큼 중국 유학생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 대학 관계자는 “2주간 잠복기가 있는 만큼 서울시에서 하루라도 빨리 대규모 시설을 마련해 입국한 중국 유학생을 2주간 별도로 관리하는 시설을 마련해야 한다”며 “현재 대학 상황에서는 인력, 인프라 부족으로 기숙사에 살지 않는 중국 학생의 동선을 일일이 관리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전지연기자 now21@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