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개강앞둔 대학 노심초사…코로나 최악땐 휴교 검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역사회에 코로나19 전염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개강을 2주 늦춘 대학가는 캠퍼스 내 감염 발생 가능성까지 고려하며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개강 후 3월 중순까지 꺾이지 않을 때는 일시 휴교 조치까지 고민하는 대학도 있다. 21일 대학가에 따르면 서울 주요 대학은 개강 이후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는 최악 상황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하고는 있지만 뚜렷한 결론은 내지 못하고 있다.

A사립대 관계자는 "개강 이후에도 코로나19 확산세가 잡히지 않으면 대학을 일시 폐쇄하는 방안까지도 고려할 수밖에 없다"며 "대학들이 최선을 다하겠지만 뚜렷한 대비책을 세우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이미 지역사회에 감염이 확산되고 있지만 대학들이 취하는 대책은 중국인 유학생의 자율격리 공간을 마련하는 등 '국내 유입 예방' 차원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B사립대 관계자 역시 "최근 며칠 새 확진자 수가 지방으로 급증한 것처럼 개강 이후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모른다"며 "캠퍼스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면 대학이 아닌 정부 차원에서 대응책을 내놓지 않겠느냐"고 전했다.

교육부는 대학가에 최악 상황이 오면 중앙사고수습본부 결정에 따른다는 입장이다. 이날 김규태 교육부 고등교육정책실장은 브리핑에서 "3월 중순까지 확산세가 이어질 경우는 중수본 결정에 따를 것"이라며 "상황이 '심각' 단계로 간다면 중수본에서 전체 계획을 짜고 교육부는 세부 계획을 짜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교육부는 각 대학이 타 대학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거나 활용해도 학점으로 인정해주는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각 대학이 온라인 강의를 제작하기 어려운 상황이면 케이무크(K-MOOC) 강의나 타 대학 온라인 강의를 학생들이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서울시는 교육부와 협력해 개강을 앞두고 입국 예정인 중국인 유학생 1만7000여 명에 대해 입국 단계부터 전방위적인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25개 자치구와 49개 대학과 함께 '서울시 중국 입국 유학생 공동대응단'을 구성하고, 중국에서 입국하는 유학생에 관한 정보도 교육부와 공유하기로 했다.

우선 유학생들의 거주공간과 관련해 1차적으로 대학 기숙사, 대학 유휴시설 등을 활용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시 인재개발원 등 임시 거주공간을 확보해 지원한다. 임시 거주공간 지원 대상은 입국 시 의심증상자 중 음성 판정을 받은 유학생, 확진자와 접촉해 자가격리 통보를 받았지만 갈 곳이 없는 유학생이 우선이다. 하지만 서울시가 마련한 임시 거주공간 5개소의 수용 가능한 규모는 연인원 353명에 불과하다. 교육부 관계자는 "모든 외국인 유학생을 기숙사나 지자체 시설에 수용하는 것은 아니다"며 "자가격리 판정을 받아 별도 장소에서 격리해야 하는 상황 등에 한해 우선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학 인근 주민들 사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40번째 확진자가 발생한 서울 성동구 사근동에서는 오는 25일부터 한양대 중국인 유학생 90여 명이 별도로 지정된 기숙사에 입소할 예정이다. 대학 측은 "유학생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보호·관리하기 위해 한곳에서 지내게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교육부는 유치원과 초·중·고교의 전국 단위 개학 연기에 대해 "학생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개학 연기를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초·중·고교에 재학 중인 외국 국적 학생의 중국 방문 이력을 전수조사하고 있다. 김규태 실장은 "추이를 조금 더 지켜봐야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최현재 기자 / 문광민 기자 / 김금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