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갈수록 지갑 닫는 베이비붐 세대…50·60 소비성향 3.7%포인트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0대 이상 가구와 고소득층 가구가 최근 10년 간 소비성향 하락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급속한 고령화, 연금제도 부실, 소득원 부재로 미래 소득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것이 원인이다.

매일경제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최근 소비성향 변동요인 분석 및 시사점'에 따르면 50대의 2018년 소비성향은 2012년보다 2.1%포인트 줄어 전체 소비성향 감소(-5.5%포인트)를 이끌었다. 60대는 1.6%포인트 감소를 기록했다. 소득분위별로는 고소득층인 5분위가 2.7%포인트 줄어 최대 감소폭을 보였고 4분위가 1.9%포인트 축소돼 뒤를 이었다.

소비 목적별로는 임대료, 식료품, 의류, 신발 등 필수 의식주 관련 항목이 크게 줄면서 전체 소비성향 하락(-5%포인트)의 86%를 차지했다.

급속한 인구 고령화에도 은퇴 세대의 소득원이 안정적이지 않아 미래 소득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된 것이 요인으로 지목된다.

한국의 은퇴(60세 기준) 후 기대여명은 2000년 20.3년에서 2018년 25.2년으로 늘고 있지만 공적 연금의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다. 2018년에 62세로 연기된 국민연급 수급연령은 5년마다 1세씩 늦춰지고 있다. 국면연금 소득대체율 또한 매년 0.5%씩 인하되고 있다. 반면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으로 노후준비를 한다는 비율은 2011년 57.6%에서 2019년 63.5%까지 상승했다. 60대 이상 고령층 가구의 총소득 대비 공적이전소득은 2000년 중 10% 내외에서 2016년 19~38%까지 상승했다.

한은은 다만, 정부의 사회보장정책 강화로 2010년대 중반 이후 고령층의 생활여건이 개선되면서 소비성향의 급격한 하락세가 완화됐다고 밝혔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사회보장제도가 좋아졌다는 응답은 2009년 40%에서 2019년 63.7%로 늘었다. 같은 기간 생활여건이 좋아졌다는 응답은 26.6%에서 52.4%로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한국의 고령층은 부동산 등 보유 자산이 늘어도 소비를 늘리는 자산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며 "향후 정책 추진 시 미래 소득에 대한 급격한 기대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