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항공사들의 엇갈리는 희비

코로나19 터널 속…제주항공, 이스타항공 인수 "시너지 창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수가 545억원…종전 대비 150억원 낮아져

이석주 "운영효율 극대화로 이스타 정상화 나설 것" 최종구 "정부차원의 적극 지원을"

'승자의 저주' 우려도 여전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제주항공이 장고(長考) 끝에 이스타항공 인수를 최종 확정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항공업계 전반이 고사위기에 내몰린 상황에서다. 일각에선 승자의 저주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제기되는 가운데, 양사는 이번 통합으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를 돌파하겠단 구상이다.


제주항공은 이스타홀딩스와 이스타항공 주식 497만1000주(51.17%)를 약 545억원에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경영권 인수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지 약 3개월 만이다. 제주항공은 앞서 양해각서 체결 당시 이스타홀딩스에 지급한 이행보증금(115억원)을 제외한 잔액 약 430억원을 오는 4월29일까지 전액 납입할 예정이다.


인수대금 545억원은 당초 이스타홀딩스와 제주항공이 논의한 695억원보다 150억원 가량 낮은 수준이다. 실사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리스크와 더불어, 코로나19로 인한 업황 악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석주 제주항공 대표는 "양사는 현재 코로나19 이슈 등으로 인한 항공시장상황을 고려, 궁극적으로 항공업계 발전에 보탬이 되도록 양보를 통해 가격조정을 이뤄냈다"면서 "운영효율 극대화를 통해 이스타항공의 경영 안정화 및 수익성 개선을 목표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인수·합병(M&A)은 지난 2005년께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란 모델이 등장한 이래 첫 동종업계간 결합이라는 점에서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15년간 고속 성장을 해온 LCC 업계는 지난해 일본여행 불매운동으로 단거리 시장에서의 공급과잉이 본격화 되면서 구조개편 가능성이 지속 제기돼 왔다.


그러나 업계 일각에선 승자의 저주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난해 일본여행 불매운동에 이은 동남아시아 노선에서의 공급과잉, 올해 코로나19로 인한 주요 노선 운항중단의 여파가 여전한 까닭이다.


각 사의 상황도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이스타항공은 지난 2월 임직원의 임금을 40%만 지급했을 정도로 재무상황이 악화 돼 있다. 지난 2018년 기준으로 부채비율은 484.4%, 자본잠식률은 47.9%에 달했다.


최종구 이스타항공 대표도 정상화를 위한 정부 지원을 거듭 촉구 했다. 최 대표는 이날 "이번 결정은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민간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자구 노력의 일환"이라면서 "항공산업은 코로나19사태로 큰 피해를 보고 있는 관광, 호텔, 자영업 등과 따로 볼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산업으로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정책지원과 금융지원 등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제주항공은 지난해 3분기 기준 3000억원대의 실탄을 보유 중이나, 지난해 329억원의 적자를 낸데 이어 올해도 코로나19에 따른 수 백억원 대의 적자가 발생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밖에 두 회사 안팎에서도 향후 있을 구조조정 등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다만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은 규모의 경제를 통해 빠른 정상화에 나선단 구상이다.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 원가를 절감하고, 노선망을 유연하게 운용하는 것은 물론 가격경쟁력도 확보하겠단 것이다. 실제 국토교통부 항공기안전시스템(ATIS)에 따르면 양사가 보유한 항공기는 총 68대(제주항공 45대, 이스타항공 23대)로 2~3위권인 티웨이항공(28대), 진에어(27대)를 넘어선다.


업계 한 관계자는 "LCC의 정석이라 할 수 있는 미국 사우스웨스트항공, 아일랜드 라이언에어의 최대 경쟁력은 결국 규모의 경제와 그에 따른 가격경쟁력"이라면서 "코로나19란 파고만 잘 넘는다면 장기적으론 중소 규모에 머무는 경쟁 LCC에 비해 확고한 우위를 굳힐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