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둥성, 한국인 격리 비용 중국 부담키로
미국 출국시 37.5도 넘으면 탑승 거부돼
인도 4일부터 기존에 발급한 비자 취소
외교부는 3일 오전 한국발 입국 제한 지역이 87곳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각 항공사의 항공기 운항 중단과 감편이 늘고 있다. 전날 오후 인천국제공항 여객기 터미널에 항공기들이 서 있다. 김성룡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외교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8시 기준 한국발 입국을 막고 있는 국가는 37곳이다. 전날보다 1곳이 늘었다. 공항 검역을 강화하고 격리 등을 통해 입국 절차를 강화한 나라는 전날보다 7곳이 늘어나 54곳으로 집계됐다.
이날 기준으로 각국에 격리된 한국인은 약 1200명이다. 중국(960여 명)과 베트남(270여 명)에 가장 많다. 외교부는 중국과 베트남에 신속대응팀을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이들 역시 현지에서 14일간 격리가 불가피할 수 있어 아직 결정은 내리지 못한 상태다.
입국 제한 국가 추이를 보면 한국을 입국 금지 국가로 분류하는 나라가 크게 늘지 않고 있는 것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도착비자 발급을 중단했던 인도는 이날 이전 한국, 이탈리아, 이란, 일본인에게 발급된 모든 일반·전자비자의 효력을 4일부터 즉각 중단하기로 했다. 아직 인도에 입국하지 않은 해당 국민의 비자를 무효화한 것으로 사실상의 입국 금지다.
향후 중국과 미국의 움직임이 역시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전날과 비교해 베이징시 1곳이 집계에서 줄었지만 26개 성·시 가운데 절반인 13곳이 한국 방문객에 대해 격리 등 강화된 입국 절차를 유지하고 있다. 외교부는 베이징시가 빠진 것과 관련해 “당초 일부 아파트 단지에서 (한국인을) 14일간 격리하는 일이 있어 넣었지만, 베이징시 당국에서 공식적으로 한 것이 아닌 것으로 파악돼 제외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중국 지방 정부별로 시행 중인 입국 규제를 11개 유형으로 정리해 그에 맞는 맞춤형 대응을 중국 각 지역 공관에 지시했다고도 밝혔다. 격리 기간은 입국일로부터 14일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거나 격리하더라도 자가 격리를 우선으로 해달라는 식이다.
일부 성과도 있었다. 광둥성 정부는 지난 2일부터 한국발 입국자의 강제 격리와 자비 부담을 고집했으나, 정부가 강력히 항의한 결과 격리 기간에 호텔 격리 비용은 중국이 부담하는 쪽으로 기존 방침을 철회했다.
지난달 28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 인천발 로스앤젤레스(LA)행 KE017편 탑승구 앞에서 대한항공 직원들이 탑승 승객의 발열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은 한국 방문객에 대한 입국 제한 조치까지는 내리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자국민에게 대구에 한해 국무부 여행경보를 최고 단계인 4단계 ‘여행 금지’로 격상하면서도 한국 자체에 대해서는 3단계 ‘여행 재고’를 유지하고 있다.
정부는 한국에 대한 입국 제한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이날 오전 0시부터 미주노선 탑승객 모두에게 발열 체크를 하기로 했다. 당초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만 실시해온 것을 전 항공사로 확대 시행하는 것이다. 발열 검사 시 체온이 37.5도 이상 넘어가면 탑승이 거부된다. 다만, 미국 입국 후에도 의료검사를 한 번 더 받아야 한다.
미국이 추가적인 입국제한 조치에 나설 가능성에 대해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그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에서 한국의 방역체계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고, 실제 와서 견학하고 싶다는 이야기도 있다”고 전했다.
한편, 외교부는 이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을 예정대로 올해 상반기로 추진하겠지만,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이 있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고위 당국자는 “일본 언론을 보면 4월로 협의 중인 시 주석의 방일이 연기된다는 보도가 있었다”면서 “이번 사태가 빨리 극복되지 않으면 (시 주석 방한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