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이슈 [연재] 뉴스1 '통신One'

[통신One]佛 '마스크 대란'에 정부가 직접 수급 통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국서 1천만장 징발…처방전 없으면 환자도 못 사

[편집자주]정통 민영 뉴스통신사 뉴스1이 세계 구석구석의 모습을 현장감 넘치게 전달하기 위해 해외통신원 코너를 기획했습니다. [통신One]은 기존 뉴스1 국제부의 정통한 해외뉴스 분석에 더해 미국과 유럽 등 각국에 포진한 해외 통신원의 '살맛'나는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현지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생생한 이야기, 현지 매체에서 다룬 좋은 기사 소개, 현지 한인 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슈 등을 다양한 형식의 글로 소개합니다.

뉴스1

지난달 28일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을 찾은 관광객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리=뉴스1) 김채인 통신원 = 프랑스에서도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환자가 급증하면서 보건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달 26일 18명이었던 프랑스 내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5일 현재까지 423명으로 급증했으며, 사망자도 7명 발생했다.

이에 따라 프랑스 전역에선 '코로나19 예방용' 마스크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상황. 프랑스 정부가 지난 3일 마스크의 일반 판매를 전격 금지하는 조치를 취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현재 프랑스에선 마스크 수급을 정부가 통제하고 있다. 마스크는 의료 관계자들에게 우선 배포되며, 약국에서 구입하려면 의사 처방전을 받아야 한다. 마스크 구입비엔 의료보험도 적용된다.

그러나 프랑스 당국은 "건강한 시민은 마스크를 쓸 필요가 없다"며 코로나19 확진자나 임신부·노약자 등 고위험층에만 마스크 처방전을 발급해주도록 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가 전국에서 징발한 마스크는 1000만장 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프랑스 보건부는 확보한 마스크 재고 가운데 유통기한 만료가 임박한 제품부터 시중 약국에 공급하고 있다.

프랑스에서 가장 많은 코로나19 확진자(105명)가 발생한 우아즈 지역엔 유통기한이 이달까지인 마스크가 배포돼 논란이 일기도 했지만, 보건부는 "당장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파리 인근 발드마른에선 5일 오후 유통기한이 2012년 9월까지인 마스크 4만여장의 유통기한 기재 부분을 지우고 이를 시중에 팔려던 용의자 3명이 경찰에 붙잡히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