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틸 수 있는 시간, 기업 가치·경영 투명성 제고 '장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타트업이나 벤처기업의 추가 성장, 즉 '스케일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국내 벤처금융시장에 '벤처대출' 제도를 도입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벤처투자가 '벤처대출 전용펀드'를 구성하거나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등 정책보증기관이 '후속투자 협업형 보증'을 내놓는 것 등이 대표적인 아이디어다.
벤처대출은 해당기업이 후속 지분투자를 받기 전까지 버틸 수 있는 시간 제공, 지분희석 방지를 통한 기업 가치 제고, 대출 심사에 따른 경영 투명성 확보 등의 장점이 있다.
이같은 제안은 중소기업연구원이 22일 펴낸 '스케일업 촉진을 위한 벤처대출 도입 방안' 보고서에 담겼다.
연구원은 벤처기업의 스케일업(scale-up) 활성화가 세계 주요국의 중요한 정책방향이 됐지만 우리나라는 미국 등 주요국에 비해 스케일업 단계의 중·후기 투자가 부족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의 벤처 신규투지금액 등 전반적인 양적지표는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중·후기 투자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실제 국내 시드·엔젤투자 유치기업이 시리즈C 후속투자를 받는 비율은 14.5%에 그치고 있다. 반면 미국, 중국은 30% 이상이 후속투자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스타트업, 벤처기업의 추가 성장을 위한 운전자금, R&D 투자, 사업확장 등에 필요한 돈을 추가로 조달하기 위해 '벤처대출' 도입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기업들도 이를 바라고 있다.
중기연구원이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창업 5년 미만 기업 중 41.6%와 3년 이내에 후속 지분투자계획이 있는 기업 중 54.9%가 후속 지분투자를 받기 이전까지의 기간연장을 위해 벤처대출 사용 의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60%의 기업이 벤처대출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예상했다.
벤처대출이란 벤처캐피탈로부터 지분투자를 받은 벤처기업에게 제공되는 모든 형태의 대출을 말한다.
연구원은 관련 제도 도입을 위해 벤처대출 도입 초기단계에서 은행권과 벤처캐피탈의 협업관계 구축을 위해 정책자금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에 따라 모태펀드가 출자하는 벤처대출전용 펀드를 만들고 정책보증기관의 벤처캐피탈 후속투자와 연계해 보증을 제공하는 협업형 보증을 도입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중기연구원 홍종수 부연구위원은 "미국의 경우 벤처대출 제공 금융기관과 벤처캐피탈의 피투자기업의 후속투자 가능성에 대한 오랜 기간에 걸친 협업을 바탕으로 쌓은 신뢰관계로 인해 벤처대출시장이 존재하고 활성화 될 수 있었다"며 "국내에선 주요 대출제공 금융기관인 은행과 벤처캐피탈의 협업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벤처대출을 국내에 도입하기 위해선 두 기관의 협업 확대 및 경험의 축적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현재 은행의 성과평가, 인력, 경험으론 벤처대출 직접 도입이 힘들지만 은행의 벤처기업 투자펀드 출자는 이미 시행하고 있어, 대출형 펀드 구성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게 연구원 분석이다.
나수미 연구위원은 "벤처대출을 통해 은행은 혁신성장을 위한 생산적 금융공급자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벤처대출시장 참여에 따른 새로운 수익창출이 가능할 것"이라며 "다만 이를 위해선 정책적인 지원 아래 은행의 선별 역량이 강화돼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