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시가 평화·통일에 대한 공감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사회적 대화의 장을 연다. 이념적 갈등을 극복하고 합의에 기반한 미래지향적 통일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는 7월부터 12월까지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시민이 만드는 평화·통일 사회적 대화'를 추진한다.
시는 "남북관계와 통일문제를 둘러싼 국내의 다양한 이념 및 세대 갈등을 완화하고 해소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며 "사회적 합의를 위해 바텀업 방식의 여론 수렴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회적 대화란 다양한 성격을 가진 주체나 이해당사자들이 숙의와 토론을 거쳐 쟁점을 논의하고 포괄적인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이다.
시가 지난해 9월 4대 권역별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사회적 대화를 진행한 결과 평화·통일에 대한 관심도는 숙의 전 84.3%에서 93.1%로 8.8%포인트 높아졌다. 다른 생각·주장 이해는 97.2%, 나와 다른 의견 존중은 91.3%로 나타났다. 서울-평양 하계올림픽에 대한 인지도는 기존 47.1%에서 50%로 2.9%포인트 증가했다고 시는 덧붙였다.
국내 통일문화 확산을 위해 올해에는 행사 횟수와 참여 대상을 확대한다. 사회적 대화 추진 횟수는 기존 4회에서 15회로 약 4배, 참여 인원은 739명에서 2440명으로 3배 이상 증가한다.
또 연령과 직업, 이념에 관계없이 다양한 시민이 한 데 모여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사회적 대화 참여 대상을 지역 주민에서 청소년, 교사까지로 넓히기로 했다. 지난해에는 서북·동남·동북·서남권 4대 권역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했다. 정치성향별로는 중도가 39.5%(292명)로 가장 많았고 진보 37.3%(276명), 보수 23.1%(171명)가 뒤를 이었다.
시는 "다양한 구성원들이 참여하다 보니 일부 의제에 대한 참여자의 집중도가 떨어지고 세대간 공감이 부족한 부분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에 시는 현재 남북관계 정세와 서울시, 시민들의 현안에 맞는 의제설정을 위해 사회적 대화를 촉진할 퍼실리테이터 양성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기로 했다.
퍼실리테이터는 토론회 참석자가 사회적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다. 시는 숙의형 퍼실리테이터 50명과 합의형 퍼실리테이터 20명 등 총 70명을 양성한다. 숙의형 퍼실리테이터는 구성원들이 상호토론을 통해 문제를 진단하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합의형 퍼실리테이터는 숙의형을 바탕으로 숙성된 의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 도출을 촉진하는 역할을 맡는다.
의제는 평화·통일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의제선정위원회를 통해 발굴하고 일반 및 이슈, 특화의제로 구분해 세션별 토론회를 개최할 방침이다.
시는 7월까지 토론회 의제 선정과 퍼실리테이터 양성을 완료한다. 이후 시민참여단을 구성해 9~11월 15회 안팎의 토론회를 열 예정이다. 공론화 과정에서 나온 의견은 서울시의 평화·통일 정책 결정 등에 활용된다.
시는 "사회적 대화는 남남갈등을 해소하고 사회통합에 기여할 것"이라며 "다양한 계층의 시민이 폭넓게 참여해 소통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전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