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에 친서를 보내 미북 관계 추동 구상을 설명하고 코로나19 방역에 협조할 의향을 전달했다.
앞서 지난 1월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생일 즈음해 친서를 보낸 바 있다.
또 지난 4일에는 김 위원장이 문 대통령에게 코로나19 관련 위로를 전하는 내용의 친서를 보내고, 문 대통령도 이튿날 감사의 뜻을 담은 답신을 전한 뒤 2주가량 지난 시점에 북미 간에도 '친서 외교'가 재현된 셈이다.
북핵 협상이 답보 상태에 빠진 가운데 북한의 신형 무기 시험이 진행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전 세계가 코로나19 확산에 신음하면서 북핵 외교가 잠시 뒤로 밀린 듯한 상황에 3국 정상이 코로나19를 매개로 '소통'에 나서는 모양새다.
이처럼 남북미 정상이 '개인적 친분'을 강조하며 친서를 주고받는 것은 국내적으로 정상 간 긴밀한 관계를 과시함과 동시에 코로나19로 국제 정세가 혼란을 거듭하는 상황에 '오판'에 의한 위기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의도가 담긴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2018∼2019년의 남북미 친서 외교가 '톱다운 방식'으로 북핵 실무 협상을 재촉하는 역할을 했다면, 최근의 친서 교환은 정상 간 신뢰의 확인을 통한 '상황 관리'에 초점에 맞춰져 있는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북한으로서도 코로나19 발병·확산 위험에 대비할 필요가 있고,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도 국내 코로나19 대응과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북한 리스크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친서 외교'가 실질적인 북미 협상의 진전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남북미가 구체적인 북핵 해법 찾기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코로나19 대응에 감염자가 폭증하는 미국은 물론 각국이 국내외 역량을 쏟고 있기 때문이다.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 전달 사실을 공개하는 담화에서 "두 나라를 대표하는 분들 사이의 친분이므로 긍정적인 작용을 하겠지만 그 개인적 친분관계가 두 나라의 관계발전 구도를 얼만큼이나 바꾸고 견인할지는 미지수"라고 언급한 것도 이런 연장선에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코로나19 인도적 지원은 제재와 별개라는 입장을 수차례 공언했으며, 국무부도 코로나19와 관련해 북한 주민의 발병 취약성을 우려한다며 필요하면 신속한 지원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