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WT논평] Totalitarian governments can't respond to a health crisis very well (1)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ed Babbin (deputy undersecretary of Defense)

Medical scientists are learning a great deal from the COVID-19 epidemic, and there are lessons for all of us. Perhaps the most compelling is the lesson that the best responses to any major health crisis cannot come from totalitarian governments.

China, which was ground zero for the coronavirus, has forcibly quarantined tens of millions of its people, lied about the disease’s spread and suffered the highest numbers of deaths.

Its scientists are doing research, but there is no news about what they have done or what successes they may have achieved. The Xi Jinping regime will hide the news until there are major successes, if such ever occur.

The nation which also has suffered a great many deaths, Iran, has similarly lied about the epidemic there. Its health system, to the extent it exists, is incapable of a significant response.

The coronavirus has spread to many nations in Europe, the Middle East and sub-Saharan Africa. India expects a major outbreak. The disease can kill, but most people suffer no more than they would from a normal case of flu.

The only good thing about the coronavirus outbreak is the relative stability of the virus. Neither of its two identified strains apparently have (yet) mutated into a deadlier disease.

Democracies are better than despotisms at fighting disease, as my friend John Batchelor and I discussed on his radio show. Contrast the ways China and Iran are dealing with the coronavirus with the methods and means being employed by the United States and Israel.

China is Communist, and, derivatively, totalitarian. When the outbreak of the coronavirus began in the city of Wuhan, the first thing China did was to bury the news. For about six weeks, the Chinese government concealed the problem.

독재 정부는 보건위기에 잘 대응할 수 없다 (1)

제드 배빈 전 미 국방 부차관

의료 과학자들은 코로나19의 전염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있으며, 우리 모두의 교훈이 몇 가지 있다. 아마도 가장 주목해야 할 교훈은 모든 주요 보건 위기에 대한 최선의 대응이 독재 정부들로부터 나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일 것이다.

코로나19의 최초 발생지인 중국은 수천만 주민들을 강제로 격리시켰고 질병의 확산에 관해 거짓말을 했으며 가장 많은 사망자를 냈다.

중국 과학자들이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그들이 한 일이나 혹은 거둔 성과에 관한 뉴스는 없다. 혹시 중요한 성과가 생기더라도 시진핑 정권은 그때까지 뉴스를 숨길 것이다.

역시 많은 사람이 죽은 나라인 이란은 자국의 전염에 관해 비슷한 거짓말을 했다. 이란의 보건체제 정도로는 중요한 대응을 하기에 역부족이다.

코로나19는 유럽과 중동 및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다수 국가에 확산되었다. 인도에서 대규모 발생이 예상된다. 이 질병으로 사망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반적인 독감 정도의 증세에 시달린다.

코로나19 발병에서 유일하게 좋은 점은 이 바이러스가 비교적 안정적이라는 사실이다. 확인된 2가지 변종 가운데 어느 것도 아직은 더 치명적인 질병으로 변형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필자의 친구인 존 배츨러와 필자가 그의 라디오 쇼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민주국가들이 폭정을 일삼는 나라들보다 질병을 더 잘 퇴치한다. 중국과 이란이 코로나19에 대처하는 방법을, 미국 및 이스라엘이 채택한 여러 가지 방법 및 수단과 대비해 보라.

중국은 공산주의 국가이고 그로 인해 독재정치가 파생된다. 코로나19의 발생이 우한시에서 시작되었을 때 중국이 가장 먼저 한 일은 관련 뉴스를 묻어버리는 것이었다. 대략 6주일 동안 중국 정부는 문제를 은폐했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