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대구는 전수, 경북은 표본조사…방역당국 “공통 기준 만들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자체별로 진단 기준 달라 집단감염 위험 더 키울 수도”

다수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대구시와 경북도가 감염 고위험군에 대한 진단검사 방식을 전수검사와 표본검사로 지자체별로 다르게 적용하고 있다. 효과적인 방역을 위해 정부 차원의 통일된 지침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4일 이후 봉화 푸른요양원에서 수십명의 확진자가 나오자 9일부터 22일까지 경북지역 564개 생활복지시설 환자와 종사자 2만7000여명을 대상으로 코호트 격리(동일집단 격리)에 들어갔다. 지역사회 감염을 막기 위해 ‘고위험군 봉쇄 카드’를 사용한 것이다.

그러던 중 지난 19일 경산 서요양병원에서 직원 1명이 확진 판정을 받는 등 전수조사에서 환자 27명과 종사자 8명이 확진자가 됐다.

집단감염 사례가 발견되자 경북도는 경산지역 요양병원 11곳의 2915명(환자 1717명·종사자 1198명)에 대해서만 진단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요양병원 내 감염 추이를 본 뒤 특별재난지역인 청도와 봉화 등 다른 시·군에서의 전수검사를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경북 전체 요양병원 110곳에 대해서는 표본검사를 진행 중이다. 도는 요양병원 1곳당 의사, 간호사, 요양보호사, 환자 1명씩을 반드시 포함하는 등 자체 기준을 마련해 환자·종사자 2만7913명의 표본 5%(1350명)에 대한 진단검사를 하고 있다. 현재까지 832명이 검사를 받았지만 양성 판정을 받은 이는 없다. 330명이 음성 판정을 받았고 502명은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반면 확진자 폭증 사태를 겪은 대구시는 신천지 교인 전수조사 이후에도 ‘전수조사 카드’를 고수한다. 노인과 장애인, 노숙인 등을 집단감염 고위험군으로 판단한 대구시는 요양원 등 사회복지생활시설 327곳을 진단검사 대상으로 삼았다.

시는 여기에다 ‘병원’으로 분류되는 요양병원 67곳을 추가했다. 지난 13일부터 3만3610명의 종사자와 환자 등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전수 진단검사가 진행되고 있다.

시는 23~24일쯤 미검사자 1856명과 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3635명의 확진 여부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대구시는 신천지 교인·요양병원 등의 검사 이후 지역 정신병원 24곳을 ‘3차 전수조사’ 목록에 포함시켰다. 정신병동에서 다수의 확진자와 사망자가 발생한 경북 청도대남병원 사례를 주목한 것이다.

시 관계자는 “(정신병원은) 창문과 출입구가 닫힌 공간에서 함께 생활하는 환자 사이에 집단감염이 될 수 있어 위험하다”면서 “정신병원 입원환자가 면회 등 다른 경로로 감염될 우려도 있기 때문에 이 부분도 참고해 진단검사를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대구시는 구로 콜센터 집단감염 이후 지역 내 콜센터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벌였다. 일부 시설에서의 집단감염 사례가 뒤늦게 발견되면서 최초 확진자가 나올 때부터 위험성을 알려야 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지자체별로 대책을 마련할 경우 집단감염 사례를 제때 발견하지 못해 피해를 키울 가능성이 있다”면서 “한국도 감염병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이 드러난 만큼 정부 차원에서 공통된 기준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백경열 기자 merci@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