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삼성화재배 AI와 함께하는 바둑 해설] AI의 상징 - 어깨짚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8강전〉 ○·구쯔하오 9단 ●·신민준 9단

중앙일보

장면 3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장면 ③=흑1과 같은 수를 ‘어깨짚기’ 또는 ‘낙하산’으로 부른다. 어깨짚기는 삭감의 의미가 강하고 낙하산은 가볍게 적진에 침투한다는 뉘앙스가 있다. AI는 이 어깨짚기를 정말 좋아한다. 3선이 아닌 4선, 5선에 있는 상대 돌에도 거침없이 두기 때문에 알파고 때부터 큰 화제였다. 고정관념 타파의 상징이 된 AI의 어깨짚기, AI는 삭감보다는 확장의 의미로 이 수를 자주 사용한다.

지금 신민준 9단이 흑1로 어깨를 짚어간 장면. 단순히 A로 벌리는 대신 어깨를 선택한 점에서 AI의 심대한 영향이 느껴진다. 한데 AI가 이 대목에선 오히려 A를 3% 정도 높이 평가하고 나섰다. 왜일까.

중앙일보

AI의 참고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I의 참고도=AI는 백1의 가벼운 응수가 제격이어서 어깨짚기는 최선이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이후의 수순은 AI의 참고도인데 매우 추상적이고 자유분방하다. 흑이 왜 우변을 방치하고 4,6으로 가야 하는지 그 하나하나의 의미를 명백히 이해할 수 있다면 대단한 존재일 것이다.

중앙일보

실전진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전진행=백은 단순히 2로 밀어 7까지 두었다. 이것으로도 백의 기대승률은 62%까지 올랐다.

박치문 바둑 칼럼니스트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