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전국 도시개발사업 신규 지정면적 1.6배 급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 지난해 전국 도시개발사업 신규 지정 면적이 전년 대비 1.6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17개 광역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시개발사업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2019년말 기준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를 26일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지정된 도시개발구역은 36곳으로 전년과 같았지만 늘어난 면적은 9.4㎢로 전년의 5.9㎢대비 1.6배가 많았다.


경기 남양주 양정역세권 복합단지개발사업(2㎢) 등 일부 대규모 구역이 포함되면서 면적 증가폭이 컸다고 국토부는 분석했다. 지난해 신규 지정된 구역 중 수도권은 19곳 5.3㎢로 전년(2.1㎢)에 비해 크게 증가했으며, 지방에서는 17곳, 4.1㎢가 신규 지정됐다.


이에따라 2000년 도시개발법 시행 이후 현재까지 지정된 전국 도시개발구역 수는 524개, 총 면적은 167.5㎢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사업이 완료된 것은 218개 구역 58.2㎢며, 306개 구역(109.3㎢)는 사업이 시행 중이다.


이는 여의도 면적(2.9㎢)의 약 58배 규모다. 지난해의 경우 부산 일광구역(1.2㎢), 경기 고양 식사구역(0.99㎢) 등 29개 도시개발사업이 완료돼 주거ㆍ상업ㆍ업무용지 등 8.21㎢의 도시용지가 공급됐다.


다만 3기 신도시 등 공공주택지구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도시개발구역의 비중은 점차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신규로 지정된 단지ㆍ시가지조성사업(공공주택지구ㆍ산업단지)의 총 지정 면적 38.2㎢ 중 도시개발구역의 지정비율은 24.6%(9.4㎢)로, 2018년(36.7%)에 비해 감소됐다.


지역별 사업규모는 개발압력이 높은 경기도가 172곳 54㎢ 구역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 59곳(18㎢) ▲충남 59곳(14㎢) ▲경북 46곳(12㎢) 등의 순이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업시행자별로는 민간시행자 비율이 68.0%(208개)로, 공공시행자 32.0%(98개)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개발유형으로는 주거형 사업(73.7%)이 비주거형(26.3%)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국토부는 최근 5년간 신규 도시개발구역 지정효과를 분석한 결과 연평균 7.0㎢의 신규 지정으로 약1조7000억원의 자금(공사비) 투입됐으며, 4조8000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본 것으로 추정했다. 2만1000명의 일자리 창출효과도 발생된 것으로 분석했다.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