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주총 현장]박정호 SK텔레콤 사장 "자회사 상장, 1년 늦춰질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자회사 기업공개(IPO) 등 주요 추진사업들이 1년가량 지연될 수 있다고 밝혔다. 주요 사업부문에서 코로나19에 따른 악영향이 가시화하자, 워스트 시나리오 3단계까지 대응 체계를 갖춘 상태다.


박 사장은 26일 오전 서울 을지로 T타워에서 열린 SK텔레콤의 제 36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코로나19 사태가 전 세계적으로 어떻게 될 지 지켜봐야겠지만 실물경제에서 예상보다 더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보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도시바 등 SK하이닉스를 통해 투자한 부분들도 상반기 계획중인 내용이 내년으로 넘어간 부분이 많다"며 "(자회사 상장계획이) 1년은 순연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SK텔레콤은 기업공개(IPO) 대상으로 SK브로드밴드, 11번가, ADT캡스, 원스토어, 웨이브 등을 꼽아왔다.


박 사장은 이날 "유럽, 미국 등에서 코로나19 확산속도가 빨라지며 엄청난 규모로 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글로벌 투자기관들도 리세션(경기침체)을 예견하고 있다"면서 "일상이 변하고 비즈니스도 영향을 받으며 SK텔레콤도 (여파에서)자유롭기 어렵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주력사업 중 하나인 로밍사업이 큰 타격을 입었다. 자영업자 고객을 보유한 ADT캡스 등 보안사업도 자영업자 휴폐업이 늘어난 여파가 있다"고 설명했다. 11번가 등 커머스 사업의 경우 생활품목을 중심으로 판매가 늘었으나, 여행·레저 상품판매가 줄어든 탓에 전체적으로는 마이너스라고 덧붙였다. 커머스 영역도 코로나19 여파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게 박 사장의 판단이다.


박 사장은 "워스트 시나리오 3번째까지 고려해서 유동성, 손익 측면을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코로나19 사태를 기점으로 선도적 재택근무를 도입한 데 이어, 업무혁신의 계기로 삼는다는 방침이다. 박 사장은 "오랜기간 비대면, 비접촉 마케팅에 대해 준비해온 것을 테스트하고 획기적으로 전환을 강화하는 기회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2017년 취임한 박 사장은 이날 주총에서 사내이사로 재선임되며 향후 3년 임기의 2기 경영체제에 돌입했다.


박 사장은 안건 논의에 앞서 지난 3년간 추진해온 탈통신 행보에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이동통신(MNO) 부문이 국민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로밍 개선, 고객 눈높이에 맞는 약정요금제 출시 등 사랑받기 위한 변화를 추진해왔다"면서 "(비통신부문인) 미디어, 보안, 커머스 사업도 추진해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비통신 사업부문의 손익이 지난해 흑자로 돌아섰다는 게 가장 의미있는 부분"이라며 향후 1위인 통신사업과 뉴ICT 사업을 양대축으로 삼아 실질적 성과를 이끌어내는 원년으로 만들겠다는 각오를 내비쳤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