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생방송 난입’ 로버트 켈리 교수네 3년 뒤에도 힘겨운 인터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BBC 동영상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재택 근무의 진수(?)를 일찍이 보여줬던 부산대 로버트 켈리 교수도 코로나19로 인해 바깥 출입을 자제해야 하는 지금의 상황이 힘겹기만 하다고 털어놓았다.

켈리 교수가 누군가 하면 지난 2017년 3월 10일 부산 자택에서 영국 BBC와 인터뷰를 하던 중 두 자녀가 난입하는 ‘방송사고’로 세계적으로 화제가 됐던 인물이다. 당시 네 살이던 딸 매리언이 마침 생일 잔치를 끝내고 돌아와 흥이 넘쳐 생방송 인터뷰를 하던 아빠의 방에 들어온 데 이어 8개월 아들 제임스가 보행기를 끌고 들어와 어머니 김정아 씨가 화들짝 놀라 뛰어들어오는 동영상으로 온 세상 사람들을 즐겁게 만들었다. 집에서 인터뷰할 때 켈리 교수는 방문을 잠그는데 이날만은 깜박했던 탓이었다.

당시 부인 김씨는 미국 CNN 인터뷰를 통해 일부 서구 언론이 자신을 ‘동양인 보모’로 보도해 인종주의 논란이 불거진 데 대해 “사람들이 논란을 벌이지 말고 그냥 즐겼으면 좋겠다”고 인터뷰했다. 이들 가족은 따로 닷새 뒤 부산대 주최로 기자회견을 열 정도로 유명세를 누렸다.

그런데 두 사람이 3년 만인 26일(현지시간) 다시 BBC와 생방송 인터뷰를 가졌다. 이번에는 매리언을 옆자리에 앉히고서였는데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사회적(물리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느라 가족 전체가 집안에만 머무르니 어떤가를 둘러싸고 진행자와 켈리 교수 부부가 주고받는 일문일답에는 도저히 집중이 안 된다. 매리언이 계속 아빠의 머리를 쓰다듬고 몸을 나대고 엄마에게 투정을 부려서다. 뒤에 제임스도 따라 들어와 침대에 철퍼덕 몸을 내던져 허공에 계속해 발장난을 쳐댄다.

인터뷰 내용은 하나도 귀에 들어오지가 않는다. 뭐 힘겹다는 얘기다. 3주 전부터 꼼짝없이 집에 갇혀 게임을 하고 퍼즐을 맞추고 시간을 보내는데 바깥에 나가 놀아 에너지를 쏟아야 하는 아이들이 집에만 있으니 너무 힘들다는 얘기다. 김씨가 애써 표정 관리를 하는 것도 재미있기만 하다.

며칠 전 국내 영자 신문 코리아 헤럴드에도 ‘집에 있는 것도 쉽지 않네’란 제목의 기사가 실려 한참 웃은 적이 있다. 어려운 시기, 모두 함께 웃으며 즐겁게 이겨냈으면 한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