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도심 속 살아있는 박물관' 정동, 도시재생 본격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서울 도심 속 살아있는 박물관이라 불리는 정동 일대 도시재생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26일 제2차 도시재생위원회를 열고 서울 중구 정동 일대 도시재생활성화계확안을 수정가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정동은 대한제국의 황궁인 덕수궁과 근대종교, 교육, 의료 등 서양문물을 받아들이고 세계열강들의 외교공관 등이 활동했던 우리나라 근대화의 중심공간이자 대한제국 시기의 원공간(圓空間)이다. 흔히 도심 속 살아있는 역사교과서이자 박물관이라 불린다. 지난 100년간 가로망 체계, 필지 등 도시조직이 잘 유지되고 있고 근·현대문화의 중심지로서 다수의 문화재와 건축자산이 입지해 역사문화적 가치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옛 덕수궁 궁역과 한양도성 등 역사원형이 훼손된 뒤, 현재는 덕수궁 돌담길 정도로만 기억되는 등 그 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활성화가 필요한 지역이다.


서울시는 이번 활성화계획 수립에 따라 역사문화자산의 적극적인 보전과 활용, 지역주체 간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정동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회복하고 서울을 대표하는 역사문화 명소가 될 수 있도록 '정동 역사재생 활성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그동안 서울시는 정동 일대가 2017년 서울형 2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지역 공감대 형성과 협력기반 구축, 전문가 자문 등 다각적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왔다.


정동 일대 도시재생은 역사성을 기반으로 시민이 공감할 수 있는 '역사적, 장소적 가치재생'이라는 역사재생 모델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역사보행 네트워크 구축, 재생 활성화거점 조성, 역사명소 가꾸기 등의 3대 추진전략을 마련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단위재생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정동 일대 역사재생사업은 조기에 기관·단체 중심의 지역협의체가 참여하는 재생플랫폼을 구축해 사업발굴, 계획수립, 추진과정 등 지역주체와 협력적 관계에서 진행되고 있어 사업 실현성 및 지역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정동 일대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은 이달 중 최종 고시될 예정"이라며 "지역협의체를 기반으로 각 사업들이 단계적으로 본격 진행돼 정동 지역만의 역사적, 장소적 가치를 더해갈 것"으로 기대했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