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석 대변인, 공동성명서 도출 과정 소개
'국가간 이동 장애 없도록 협력'…文대통령 제안
"5차례 회람, 3차례 수정 과정에서도 수정 안 돼"
"팬데믹 국제 대처 시스템 강화 방안 최장 논의"
[서울=뉴시스]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G20 특별화상정상회의를 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2020.03.26. photo@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 김태규 기자 = 청와대는 지난 26일 주요20개국(G20) 특별 화상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공동성명에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문구가 그대로 반영됐다고 27일 밝혔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서면 브리핑에서 전날 G20 특별 화상 정상회의와 공동성명 채택까지의 전반에 걸친 과정에 대해 소개하는 과정에서 이렇게 전했다.
강 대변인은 "공동성명문 도출은 일반적으로 의장국이 작성한 드래프트0(초안)을 회람해 각국의 의견을 수렴한다"면서 "해당 문구는 의장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드래프트0을 만들기 전에 대한민국이 제안했고, 최종본까지 그대로 반영됐다"고 말했다.
앞서 G20 정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특별 화상회의를 개최했다.
이후 코로나 바이러스의 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대응 원칙, 세계경제 피해의 최소화를 위한 정책 방향성, 국제무역 붕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행동 결의 등이 담긴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이 가운데 국제무역 붕괴 문제에 대한 행동 원칙을 다룬 부분에 "우리는 국제무역을 촉진하고 국가간 이동과 무역에 불필요한 장애를 유발하지 않는 방식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함께 협력할 것"이라는 문구가 담겼다.
이 문구를 문 대통령이 처음 제안했고, 각국 회람 과정을 거쳐 최종본까지 수정 없이 그대로 반영됐다는 게 강 대변인의 설명이다. 최종본이 나오기까지 5차례의 회람과 세 차례의 수정 작업이 이뤄졌지만 문 대통령의 제안 문구는 수정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해당 문구는 문 대통령이 국제사회 공론화에 가장 공을 들여온 부분이다. 코로나19의 팬데믹 현상이 글로벌 금융위기로 번지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기업인 간 최소한의 경제 교류는 보장돼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인식이 담겨 있다.
[서울=뉴시스]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G20 특별화상정상회의를 마치고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한 수행원들과 대화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2020.03.26. photo@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 대통령이 G20 특별 화상 정상회의 개최를 제안한 궁극적인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강 대변인은 "G20 특별 화상 정상회의 공동성명문은 G7 공동성명문보다도 더 구체적"이라며 "각 나라 장관들에게 구체적인 임무를 부여하는 등 액션플랜을 지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치적 수사로 그치는 게 아니라 실제 이행력을 담보하고 있다는 의미다. 4월로 예정된 G20 장관 회의에서 코로나 팬데믹에 대한 G20 차원의 공동 긴급조치를 마련하는 임무를 부여한다는 등의 내용이 담긴 것이 대표적인 예라고 강 대변인은 설명했다.
또 G20 정상은 국제노동기구(ILO)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코로나 팬데믹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줄 것을 요청했고, 각국 통상 장관들에게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것을 주문했다.
강 대변인은 "이런 문구가 도출되는 과정에서는 참여국들 사이에 많은 의견 교환이 있었다"면서 "특히 이번 팬데믹 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처 시스템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에 가장 많은 시간을 들였다"고 소개했다.
이어 "일부에서는 감염병에 대처할 별도의 기구 구성을 주장하기도 했다"면서 "세계보건기구(WHO)의 관련 펀드에 대한 공여 규모를 늘려야 한다는 인식의 공유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kyustar@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