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세계 금리 흐름

인도, 코로나 충격에 금리 인하…파키스탄선 교민 귀국 권고(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도 봉쇄령 속 혼란…인도·파키스탄 확진자 각각 724명·1천235명

연합뉴스

인도중앙은행(RBI)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뉴델리=연합뉴스) 김영현 특파원 = 인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로 인한 경제 위축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 금리를 인하했다.

27일 NDTV 등 현지 언론과 외신에 따르면 인도중앙은행(RBI)은 이날 긴급회의를 열고 기준 금리로 사용하는 환매조건부채권(repo·레포) 금리를 기존 5.15%에서 4.40%로 0.75%포인트(P) 인하했다.

이는 2010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AP통신은 보도했다.

레포 금리는 인도중앙은행이 상업은행에 단기로 대출할 때 적용하는 정책 금리로 인도에서는 이를 기준 금리로 활용한다.

샤크티칸타 다스 인도중앙은행장은 "이번 조치를 통해 은행권이 국민에게 돈을 더 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는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25일부터 21일간 국가봉쇄령을 내렸다.

이로 인해 전국의 산업시설이 모두 문을 닫고 물류가 마비되면서 경제에 심각한 충격이 발생한 상태다.

영국 금융사 바클레이스는 이번 조치로 인도에 1천200억달러(약 146조원) 규모의 경제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외신은 특히 인도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일용직 노동자, 농부 등 저소득층이 이번 봉쇄령으로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인도 정부는 26일 1조7천억루피(약 27조6천억원)를 취약 계층 지원에 사용하겠다고 발표하며 민심 수습에 나섰다.

연합뉴스

25일 인도 수도 뉴델리에서 경찰이 봉쇄령을 어긴 남성을 막대기로 때리는 장면. [로이터=연합뉴스]



하지만 현지에서는 국가봉쇄령으로 인한 혼란과 충돌이 계속되고 있다.

경찰의 과도한 공권력 집행으로 외출했다가 폭행당한 시민이 잇따랐고, 일부 경찰은 행인에게 뜀뛰기 등 얼차려를 통해 망신을 주기도 했다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주민 이동이 제한되는 봉쇄 기간에도 식품점 등 생활 필수 시설 운영과 이와 관련한 외출과 식품 배달 등은 허용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당국의 지침이 제대로 집행되지 않은 것이다.

27일까지 인도에서는 724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인도의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이달 초까지만 하더라도 누적 수십명 수준에 불과했으나 최근에는 신규확진자가 하루 80∼90명가량으로 늘어났다.

의료 인프라가 열악한 파키스탄에서는 코로나19가 급속하게 확산하자 현지 공관이 교민에게 귀국을 권고하고 나섰다.

주파키스탄한국대사관은 홈페이지 공고 등을 통해 "건강 취약자, 비필수 인력·가족은 사태가 악화하기 전에 현재 유일하게 열려있는 카타르 도하 경유 항공편을 통해 귀국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파키스탄의 경우 코로나19 확산 피해가 큰 이웃 나라 이란에서 최근 순례객들이 대거 돌아오면서 확진자가 급증하는 추세다. 이날까지 1천235명이 감염 판정을 받았다.

방글라데시에서도 신규 확진자 4명이 나오면서 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은 이의 수는 48명으로 늘었다.

부탄에서도 1명이 늘어 총 확진자는 3명이 됐다.

연합뉴스

이란과의 국경지대에 설치된 파키스탄 코로나19 격리 캠프. [AFP=연합뉴스]



cool@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