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40년간 쌀값 겨우 '3배' 올랐는데…강남아파트 무려 '84배' 폭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국내 주요 재화 및 서비스의 가격 추세 분석: 1980~2020' 발표

강남구 은마 아파트 3.3㎡ 매매가 77만→6469만 84배, 전세가 16만→1629만 101배

커피 한잔 200원에서 4100원으로 약 21배, 담배 한 갑 300원에서 4500원으로 15배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지난 40년간 쌀값이 3배 오른 반면 강남아파트의 가격은 84배나 폭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부분의 식자재 가격은 크게 오르지 않아 국민 1인당 국내총생산(GDP)과 비교했을 때 실질적으로 내린 것으로 분석됐다.


하나은행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9일 국내 물가 관련 공공 데이터와 과거 언론 기사 텍스트 분석을 통해 주요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 변화가 우리 국민의 경제 활동과 일상 생활에 미친 영향을 연구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40년간 농수산물과 공산품 등 소비재 대부분의 명목가격 상승률이 국민 1인당 GDP 상승률보다 낮아 소비자가 체감하는 실질적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의 진보와 생산성 증대, 교역 확대 등으로 음료, 과자, TV와 같은 공산품의 체감 가격이 크게 하락하였으며, 쌀과 닭고기 가격은 40년간 약 3배 상승에 그치는 등 대부분의 식재료 가격 상승률이 GDP상승률보다 낮아 체감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서울 강남 아파트의 매매가는 약 84배, 전세가는 101배나 상승했으며, 커피 한잔 가격은 약 21배 상승하는 등 타 품목 대비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인 항목들도 일부 눈에 띄었다.


◆40년간 식재료 가격은 실질적으로 하락…강남 아파트 값은 크게 상승


지난 40년간 다양한 유형의 재화와 서비스의 명목가격 추세를 경제 성장률 및 각종 임금 정보와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쌀값(4Kg 환산 기준)이 3,000원에서 9,500원으로 3.2배, 닭고기는(1Kg 환산 기준) 1,400원에서 4,656원으로 3.3배 상승, 상추가 8.5배 수준으로 상승하는 등 대부분의 식재료 가격이 40년간 약 9배 미만 상승하는데 그쳤다. 이에 따라 같은 기간 1인당 GDP 상승률(원화 기준 35.5배, 달러 기준 18.5배)을 고려할 때 실제 체감 가격은 크게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수박(16.7배), 배추(12.5배) 등은 타 식재료 품목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상승률을 나타냈다. 한편 서울 강남 아파트 값은 1인당 GDP 상승률 대비 높은 상승률을 보였는데, 강남구 은마 아파트의 경우 3.3㎡기준 매매가가 1980년 약 77만원에서 6,469만원으로 40년간 84배 가량 상승했고, 전세가는 16만원에서 1,629만원으로 101배나 상승해 다른 분석 대상 항목들과 큰 대조를 보였다.


◆주요 제조ㆍ서비스 품목, 실질적 가격 하락…공공재ㆍ기호품, 상대적으로 상승


보고서에 따르면 국산 중형 자동차 가격의 경우 1980년 389만원에서 현재 2,390만원으로 6.1배 상승, 콜라가 4.5배(1.5ℓ 기준), 소주가 5.1배(출고가 기준), 영화 관람료가 6.7배 상승하여, 1인당 GDP 상승률에 비해 낮은 상승률을 보여 실제 체감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술 진보와 생산성 증대, 대체재의 대중화 등으로 컬러 TV(20인치 기준)와 국제전화(한국-미국 1분 기준)는 명목가격 자체가 각각 45%, 77% 하락했다.


서울시 지하철 기본요금은 80원에서 1,250원으로 40년간 15.6배 상승하였으며, 택시 기본요금은 400원에서 3,800원으로 9.5배 상승했다. 또 병원 진료비(초진)가 9.9배, 문화재 입장료가 10배 상승하고, 국립대 등록금은 19배나 상승하는 등, 정부 및 공공기관이 공급하거나 가격을 통제하는 영역의 서비스 항목들이 민간 영역의 소비재보다 비교적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기호품 관련 항목의 명목가격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커피 한잔의 경우 200원에서 4,100원으로 약 21배, 담배 한 갑은 300원에서 4,500원으로 15배 올라 타 품목 대비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회 데이트 비용 8.6배 증가…비용 마련 위한 근로 시간은 크게 감소


이번 보고서는 각종 임금 수준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물가와 비교하는 분석도 시도했다. 1990년 690원이던 시간당 최저임금은 2020년 현재 8,590원으로 명목상 12.4배 상승해 지난 30년간 국민 1인당 GDP 상승률(원화 기준 7.9배, 달러 기준 4.8배) 보다 많이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공무원 월급(7급 초봉 기준) 은 같은 기간 23.9만원에서 현재 188만원으로 7.9배 상승했고, 사병 월급(육군 병장 기준)은 1980년 3,900원에서 현재 54만1000원으로 무려 139배 수준으로 급등했다.


아울러 물가와 임금 상승을 고려한 우리 삶의 변화도 알아봤다. 일례로 데이트 비용(영화 관람과 식사 및 커피 기준)의 경우 1990년에는 18,800원, 현재는 약 61,200원이 필요해 8.6배 가량 늘었으나, 이 데이트 비용을 벌기 위해 필요한 아르바이트 근로 시간(최저시급 기준)은 1990년 28시간에서 현재 8시간으로 감소했다.


정훈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지난 40년간 주요 소비재의 실질적인 가격이 대부분 하락하였음을 계량적으로 확인했다"면서 "다만 수치상 평균 값을 기준으로 한 분석이기 때문에 최근 심화된 소득 양극화를 고려할 때 저소득층의 체감 물가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