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한달 넘게 장사 못해” 코로나19로 자영업자 35% ‘임시휴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2월 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주말에도 불구하고 한산한 서울 명동 거리의 모습. 배우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임시휴업 중인 자영업자 사업장이 10곳 중 3곳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운영하는 알바콜에 따르면 23~27일 338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사업조치’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79.6%가 코로나19로 운영방침이 달라졌다고 응답했다.

코로나19에 따른 조치(복수응답)는 ‘임시휴업’이 34.9%로 가장 많았다. 이 중 29.6%는 매출 감소 등으로 인해 자체적으로 임시휴업에 나선 것이고 나머지 5.3%는 지자체 권고에 따른 휴업이다. ‘영업시간 단축’은 14.2%, ‘영업일수 단축’은 7.8%로 집계됐다. ‘폐점’을 결정한 비중도 2.5%로 나왔다.

임시휴업 기간은 ‘1개월 이상~3개월 미만’이 41.4%로 가장 많았다. 이어 ‘2주 이상~4주 미만’이 38.8%로 조사됐다. ‘드문 드문 휴점하며 재오픈은 4월 6일 개학일 이후로 예정’하거나 ‘재개 시기를 결정하지 않았다’도 각각 4.3%, 5.2%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생 운영 여건도 영향을 받았다. 임시휴업이나 영업일수 단축뿐 아니라 ‘직원해고’(9.5%), ‘근로시간 단축’(6.1%), ‘알바생 시급 삭감’(4.5%) 등의 조치를 취했다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매출 감소도 수치로 확인됐다. ‘매출이 급감했다’(70.1%)와 ‘매출이 감소했다’(24.1%)가 94.2%에 달했으며, 평균매출 감소율은 63%로 조사됐다.

맹하경 기자 hkm07@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