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외교 경로 통해 잠정 승인받았다”…‘美 FDA 논란’에 외교부 반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 연방정부 승인 통보…수출 문제없어”

진단 키트 수출 문제 두고 설왕설래

용어 바뀌며 성급한 성과 홍보 비판도

헤럴드경제

인천 국제공항 2터미널 옥외공간에 설치된 개방형 선별진료소의 모습.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한국산 코로나19 진단 키트의 미국 내 사용을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잠정 승인받았다는 외교부의 발표에 “업체조차 승인 통보를 받지 못했다”는 비판이 이어지자 외교부가 “외교 채널을 통해 통보받았다”며 다시 반박에 나섰다.

외교부 관계자는 30일 “한미 양국 정부는 국산 (코로나19) 진단 키트의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긴밀히 협의해 왔다. 지난 27일(현지시간) 우리 정부는 미국 측으로부터 외교 경로를 통해 FDA 긴급사용승인(EUA)을 신청한 국내 업체 3곳의 진단키트 제품이 잠정 FDA 승인을 받았다고 통보받았다”고 했다.

외교부는 FDA로부터 긴급사용승인번호를 받았기 때문에 국내 업체 3곳의 진단 키트 수출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 상황이라며 이 같은 내용을 미국 측으로부터 전달받고 관련 사실을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외교부는 지난 28일 보도자료를 통해 “국내 코로나19 진단키트 생산업체 3곳의 제품이 미 FDA 긴급사용승인 절차상 사전승인을 받았다”며 “지난 24일 한미 정상 통화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우리 국산 진단키트의 지원의사를 표명하면서 FDA 승인 절차가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한 데 따른 후속 조치”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외교부의 발표 이후 업계에서 “FDA에 승인을 신청한 국내 생산 업체 중 승인 통보를 받은 곳이 없다”며 외교부가 발표한 ‘사전 승인’에 의문을 나타냈다. 특히 ‘사전 승인’이라는 표현이 ‘잠정 승인’이라는 표현으로 바뀐 데 대해 일부에서는 외교부가 성과 홍보를 위해 성급하게 내용을 발표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까지 일었다.

그러나 외교부는 “이번 FDA의 잠정 승인은 일부에서 말하고 있는 연구소, 주 정부 차원의 사용 허가랑은 다른 미국 연방정부 차원의 승인”이라고 강조하며 “미국 측으로부터 잠정 승인을 받았고, 수출에 문제가 없다는 통보를 받은 것이 맞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승인을 받은 업체에 대한 질문에는 “공개 여부는 FDA의 소관이기 때문에 우리가 나서서 공개하는 것은 어렵다”고 답했다.

osy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