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사회적 거리두기'에…2월 온라인 유통매출 증가폭 3년9개월만에 최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지난달 온라인 유통 매출 증가 폭이 2016년 6월 이후 3년9개월 만에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풀이된다.


30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온·오프라인 주요 유통업체 26곳의 지난해 매출 동향 조사 결과 온라인 유통업체 13곳의 매출이 전년 대비 34.3% 늘었다고 밝혔다. 오프라인은 7.5% 감소했다.


2016년 6월 주요유통업체매출동향 통계개편 이후 온라인 매출 증가 폭은 가장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매출 증가 이유로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면접촉 대신 온라인 배송 수요가 늘어난 사실이 꼽혔다. 이른바 '사회적 거리두기' 현상 확대가 매출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특히 식품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2.5% 급증했다. 마스크를 비롯한 위생상품 판매가 늘면서 생활·가구 매출도 44.5%나 늘었다. 아동·유아(40.6%), 화장품(37.5%), 도서·문구(37.5%)의 증가세도 두드러졌다.


오프라인 매출은 대형마트·백화점 구매감소로 전체 구매건수가 감소(-2.1%)했다. 구매단가는 단가가 낮은 편의점 위주로 늘어 전체로 보면 5.5% 감소했다.


백화점은 해외유명브랜드(4.2%)만 매출이 늘었다. 여성캐주얼(-41.3%), 아동스포츠(-37.2%), 가정용품(-4.8%) 등 다른 모든 부문의 매출은 줄었다. 전체로는 -21.4%를 기록했다.


외출을 자제하는 사회 분위기의 영향을 받은 것은 대형마트도 마찬가지였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0.6% 감소했다.


의류가 46.5%나 빠졌다. 개학 연기로 가방, 문구, 노트북 등 신학기 수요도 축소됐다. 잡화(-41.5%), 가전·문화(-20.9%) 등이 영향을 받았다.


편의점은 코로나19로 근거리 소비가 늘면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다. 식품(5.6%) 소비가 증가했다. 마스크 및 안전상비의약품 판매 증가로 생활용품(33.3%), 담배 등 기타(8.7%) 매출도 늘었다.


SSM도 근거리 소비선호가 높아지고 가정식 수요가 증가한 덕을 봤다. 농수축산(5.9%), 신선·조리식품(7.8%), 가공식품(11.1%) 등 의 매출이 고루 늘었다. 전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했다.


SSM 매출이 증가한 것은 지난해 5월 이후 9개월 만이다. 2015년 2월 9.4% 이후 최대 매출증가율을 기록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