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발전사, 유연탄 수입 운송업체 정할 때 기술력·사회적 책임 따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격 위주 평가로 '지나친 경쟁' 부작용 해결

서부발전부터 시범 사업…순차적 확대 시행

아시아경제

아시아경제DB/사진은 기사와 무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해상운송분야 종합심사낙찰제 시범사업'이 한국서부발전을 시작으로 발전 5개사에서 순차 시행된다고 31일 밝혔다.


종합심사낙찰제란 가격뿐만 아니라 기술력,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사업자를 선정하는 제도다. 2016년에 정부나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300억원 이상 공사에 처음 도입됐으며, 지난해에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설기술용역까지 적용이 확대됐다.


그동안 발전 공기업은 발전용 유연탄 수입을 위해 해상운송 사업자를 선정할 때 가격 위주로 평가해 최저가 입찰자를 낙찰자로 선정해왔다. 이로 인해 선사 간 지나친 경쟁에 따른 덤핑수주의 악순환이 반복돼 시장질서가 왜곡되고 대량화물의 안정적인 수송에도 문제를 일으킨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해수부는 해상운송 사업자가 선정되는 과정에서 사업자의 운송수행능력에 대한 평가도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해상운송 종합심사낙찰제 도입을 국정과제로 선정해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발전 공기업은 기존의 가격 중심 평가에서 벗어나 해상운송 사업자의 전문성 등 용역수행능력과 가격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낙찰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또한 인력고용, 불공정 고용관행 위반 등 사회적 책임이행 여부와 입찰담합, 계약이행 지연, 인력·선박 투입 계획 위반 등 공정거래질서 준수 여부도 평가항목에 포함할 계획이다.


한국서부발전은 31일 러시아~태안, 호주~태안 간 2개 항차에 대한 유연탄 운송 현물용선 입찰을 통해 최초로 해상운송분야 종합심사낙찰제 시범사업을 시행한다. 남동·남부·동서·중부발전 등 나머지 발전 4개사 모두 올해 안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김준석 해수부 해운물류국장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선사는 전문적인 운송능력을 강화하고 발전사는 원료의 안정적 공급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발전사와 선사 간 상생협력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세종=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