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포스코케미칼, 車배터리용 음극재 시장 공략 가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포항에 2,177억 들여 공장 신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포스코케미칼이 2,177억원을 투자해 인조흑연계 음극재 생산공장을 신설하고 전기차 배터리 소재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포스코케미칼은 30일 이사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투자안을 가결했다고 밝혔다. 신설되는 음극재 공장은 연산 1만6,000톤 규모로 포항시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 내 7만8,535㎡ 부지에 조성될 예정이다. 음극재 1만6,000톤은 50kwh 기준 전기차 약 36만대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생산설비는 올해 착공에 들어가 오는 2023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인조흑연계 음극재는 원료와 공정 특성으로 인해 천연흑연 제품에 비해 내부 구조가 일정하고 안정적이다. 수명이 길고 급속 충전이 유리해 전기차 배터리 등에 주로 활용되는 소재다.

포스코케미칼은 인조흑연 원료인 침상코크스를 자회사인 피엠씨텍으로부터 공급받는다. 직접 생산한 원료를 활용해 사업 밸류체인을 고도화하고 수익성과 부가가치를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케미칼에 따르면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은 2020년 194GWh에서 2030년 3,066GWh로 10년 동안 15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케미칼의 한 관계자는 “이번 투자를 통해 성장이 기대되는 전기차 시장 성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양극재와 천연흑연계 음극재에 이어 인조흑연계 음극재까지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했다”고 말했다.

이번 사업 진출로 포스코케미칼이 인조흑연계 음극재의 국산화 성과를 이뤄내며 국내 이차전지 소재 산업의 경쟁력도 크게 제고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케미칼은 정부의 소재·부품·장비 공급망 강화 사업에도 참여해 생산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은 일본·중국 회사들이 인조흑연계 음극재 시장을 주도해왔다.

포스코케미칼은 이차전지소재연구센터를 통한 차세대 소재 연구에 나서는 한편 2023년 연산 기준으로 천연흑연계 음극재 10만5,000톤, 인조흑연계 1만6,000톤, 양극재 9만톤까지 증설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동희기자 dwis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