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최성해 “정경심에게 표창장 발급 권한 위임한 적 없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 교수 8번째 공판 증인 출석…정 교수 측 주장 전면 반박

“조국 부부, 보도자료 요청하기도…유시민·김두관도 회유”

정 교수 측 “청탁거절 뒤 불리 진술…자유한국당 결탁 의심”



경향신문

최성해 전 동양대 총장(사진)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부인 정경심 교수에게 표창장 발급 권한을 위임한 적이 없다고 증언했다. 정 교수 측은 최 전 총장이 당시 자유한국당 관계자와 만난 사실에 대해 물으며 의도와 신빙성을 문제 삼았다.

30일 서울중앙지법 형사25-2부(재판장 임정엽) 심리로 열린 정 교수의 여덟번째 공판에는 최 전 총장이 증인으로 나왔다. 검찰 측 신문으로 진행된 오전 공판의 쟁점은 최 전 총장이 정 교수에게 표창장 발급 권한을 위임했는지 여부였다. 정 교수 측은 동양대 어학교육원장을 맡고 있던 정 교수가 어학교육원 일련번호가 찍힌 표창장에 대해서는 발급 권한이 있었다고 주장해왔다.

최 전 총장은 “정 교수에게 표창장 발급 권한을 위임한 적이 없다”며 “총장 승인이나 결재를 받아야만 총장 명의 상장이 발급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 전 총장은 정 교수의 딸 조모씨의 표창장과 기존 총장 명의 표창장은 형식이 다르다고도 했다. 조씨 표창장에는 ‘어학교육원 2012-2-01’이라는 일련번호와 조씨의 주민등록번호 전체가 기재돼 있다. 최 전 총장은 총장 명의 상장에는 부서명으로 시작되는 일련번호가 찍히지 않는다고 했다. 주민등록번호 전체를 기재하지 않는다고도 했다.

최 전 총장은 조 전 장관 부부에게서 ‘정 교수에게 표창장 발급 권한을 위임했다’는 취지의 보도자료를 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했다. 최 전 총장은 “저도 공범이 되지 않습니까. 제가 큰 죄를 짓게 되는 거라(보도자료를 내줄 수 없었다)”고 했다. 조 전 장관의 전화에 대해 최 전 총장은 “불쾌했고, 법무부 장관이 되면 더 큰 요구를 할 거 같은 생각이 들어서 위축됐다”고 했다. 최 전 총장은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서도 회유성 전화를 받았다고 했다.

오후에는 변호인 반대신문이 이어졌다. 정 교수 측은 최 전 총장의 진술 신빙성이 의심스럽다는 점을 보여주는 데 주력했다.

정 교수 측은 ‘어학교육원 2012-1호’라는 일련번호가 기재된 다른 총장 명의 표창장을 반박 증거로 제시했다. 옥모씨가 2012년 7월12일 동양대 어학교육원에서 청소년 인문학 프로그램 2기를 수료한 뒤 받은 상이다. 김칠준 변호사는 재판 후 기자들과 만나 “최 전 총장이 그 많은 상장을 구체적으로 기억할 리가 없다”며 “무엇보다 2014년 이전에는 상장 관리 대장이 없기 때문에 (표창장이 위조됐다는) 객관적인 증거가 불분명하다”고 말했다.

정 교수 측은 최 전 총장이 청탁을 거절당하자 정 교수에게 불리한 진술을 하고 있다는 취지의 주장도 펼쳤다. 동양대가 2018년 재정지원 제한 대학으로 지정돼 어려움을 겪자 최 전 총장이 당시 민정수석 부인인 정 교수에게 제한을 풀어달라고 청탁했는데, 조 전 장관 측이 거절했다는 것이다. 최 전 총장은 조 전 장관에게 청탁을 한 적이 없다고 했다. 정 교수 측은 조 전 장관이 민정수석에 취임한 직후 최 전 총장이 집으로 양복 재단사를 보내려 했으나 정 교수가 거절한 일도 거론했다.

정 교수 측은 최 전 총장과 자유한국당의 결탁 의혹도 제기했다. 표창장 위조 의혹 보도는 검찰이 동양대 압수수색을 했던 지난해 9월3일 시작됐다. 정 교수 측은 “곽상도 의원이 동양대 총장상 관련 공문을 보낸 시점은 지난해 8월27일”이라며 “표창장 문제는 당시 조 전 장관 가족만 아는 건데 자유한국당이 어떻게 알고 저런 공문을 보낸 것이냐”고 물었다. 최 전 총장이 표창장 의혹을 한국당에 제보하지 않았느냐는 취지의 질문이다. 또 곽 의원이 공문을 보낸 날, 최 전 총장이 서울에서 최교일 의원 주선으로 김병준 당시 한국당 비대위원장, 우동기 전 대구시교육감을 만난 사실에 대해서도 물었다. 최 전 총장은 “셋이 친하다. (당시) 표창장 문제는 알지도 못했다”고 해명했다.

유설희 기자 sorry@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