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WT논평] Yes to nationalism, no to imperialism (1)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Daniel Pipes (president of the Middle East Forum)

Yoram Hazony’s breathtakingly counterintuitive book, “The Virtue of Nationalism”, corrects a simple but colossal mistake: The Nazi monstrosity, he argues, did not result from nationalism but from imperialism. Hitler aspired not to make Germany great in education, justice and industry, but to create a thousand-year Reich (empire) and conquer the world.

This fact, obvious to everyone during World War II, soon thereafter disappeared from sight because post-war Germans, especially Chancellor Konrad Adenauer (in office 1949-63), believed that demonizing nationalism and transforming Germans into model Europeans would best serve to normalize their country and hinder yet another German drive to brutal conquest.

Or, in Mr. Hazony’s more pungent formulation, the Germans decided to pursue their imperial dream not through invasion but through the gentler mechanism of what today is called the European Union (EU).

He relentlessly distinguishes virtuous nationalism (“nations ... able to chart their own independent course”) from evil imperialism (“An imperial state … is always a despotic state”).

Today, imperialism is rampant: Most obviously, China’s wealth enables Xi Jinping’s global ambition, with Russia and Iran similarly ambitious.

Less obviously, liberal imperialism has wide appeal in the West. It includes George H.W. Bush’s “new world order,” and Barack Obama’s “American leadership.”

In a striking historical analogy, Mr. Hazony compares rival European and American would-be imperial orders to those of the pope and the Holy Roman Emperor, with the former pair claiming moral pre-eminence and the latter pair boasting military might.

민족주의는 찬성, 제국주의는 반대 (1)

대니얼 파이프스 중동포럼 총재

요람 하조니의 놀랄 만큼 반직관적인 저서 ‘민족주의의 미덕’은 단순하지만 엄청난 잘못을 바로잡는다. 흉물스런 나치체제는 민족주의가 아니라 제국주의의 결과라고 그는 주장한다. 히틀러는 교육, 사법, 산업 부문에서 독일을 위대하게 만들기를 염원한 것이 아니라 천년제국을 만들어 세계를 정복하기를 바랐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 중에 모든 사람에게 분명했던 이 사실은 그후 오래지 않아 시야에서 사라졌는데, 전후 독일인들 특히 총리 콘라트 아데나워(재임 1949∼63)의 신념 때문이었다. 그는 민족주의를 악마 취급하고 독일인들을 모범적인 유럽인으로 변모시키는 것이 독일을 정상화시키고 독일인들의 또 다른 잔혹한 정복 충동을 막는 데 최선의 기여를 할 것이라고 믿었다.

혹은 하조니의 더욱 신랄한 공식에 따르면, 독일인들은 침략이 아니라 오늘날 유럽연합(EU)이라고 불리는 보다 조용한 장치를 통해 자기네 제국의 꿈을 추구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고결한 민족주의(“국가들은 … 자국의 독자적인 진로를 계획할 수 있다”)를 사악한 제국주의(“제국주의 국가는 … 항상 독재적인 국가다”)와 가차 없이 구분한다.

오늘날 제국주의가 만연하고 있다. 가장 명백한 경우로 중국의 부유함이 시진핑으로 하여금 세계적 야망 실현을 가능케 하고 있으며, 러시아와 이란이 비슷하게 야욕을 드러낸다.

덜 명백한 경우로는 진보적인 제국주의가 서방에서 널리 호소력을 발휘한다. 그 가운데는 조지 H W 부시의 ‘신 세계질서’와 버락 오바마의 ‘미국의 지도력’이 포함된다.

현저한 역사적 비교에서 하조니는 경쟁관계인 유럽과 미국이 자처하는 제국주의 질서를 교황과 신성로마제국 황제의 그것과 견준다. 전자는 도덕적인 우월함을 주장하고 후자는 군사력을 내세운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counterintuitive: 반직관적인 △breathtakingly: 놀랄만치 △colossal: 엄청난, 거대한

△monstrosity: 크고 흉물스러운 것 △hinder: 못하게 하다 △chart: 계획을 세우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