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내달 9일 온라인 개학 한다는데…예체능·마이스터고 대책 全無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규모 감염 우려 조치라지만

곳곳서 문제점 노출·대안 부족

재학생·재수생 형평성 논란도

아시아경제

정부가 전국 초중고등학교 개학 관련 입장발표를 앞두고 있는 30일 서울 송파구 영풍초등학교 교실이 비어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현주 기자] 정부가 순차적 온라인 개학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연기를 전격 결정한 것은 학교를 매개로 한 소규모 감염이 여전히 우려되는 상황과 추가적인 개학 연기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한다는 두 과제의 중간 지점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정부가 결국 수능 연기를 결정한 것을 두고는 재학생과 재수생 등 입장이 다른 학생 간 '형평성' 논란이 불거질 수 있어, 세밀한 대책과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만기 유웨이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재학생은 개학이 늦어지면서 학생부에 기록할 내용이 상당히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며 "1학기 활동을 해도 온라인으로 진행해야 하는데 이것 역시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소장은 "대학들이 아무리 특수한 상황을 감안한다 해도, 재학생들은 특히 특목고·자사고 졸업생(n수생)에 비해 자기소개서 측면에서 밀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개학이 세 차례 연기되면서 졸업생들이 내년도 입시에서 유리해질 것이란 관측은 교육계에서 꾸준히 제기돼 왔다. 졸업생들은 3월 중순부터 재수학원 등에서 수업을 받고 있는 반면 재학생들은 한 달여간 학교를 가지 못했다는 점이 대표적이다. 아울러 재학생들이 정규 수업과정을 마치고 '수능 준비'에 집중할 시간인 여름방학이 짧아진 측면도 재학생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학생부 종합전형에서 졸업생이 더 돋보일 가능성이 있다. 학종의 경우 졸업생 지원 비율은 20% 내외로 알려져 있고 합격률은 훨씬 그에 더 못 미치지만 올해는 상황이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경제

31일 서울 용산구의 한 고등학교에 코로나19 관련 출입금지 안내문이 붙어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개학 연기에 따른 교육부의 추가 대책이 대체로 입시일정 중심이란 측면도 형평성 논란으로 이어진다. 예체능 고등학교나 실습을 위주로 하는 마이스터고 관련 대책은 거의 없다는 지적이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관계자는 "예체능·특성화고는 관련 온라인 콘텐츠도 거의 없는 상황에서 수업일수와 시수를 일반계고 정규 수업과 똑같이 인정하게 되면 과연 공정하게 운영하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며 "제대로 환경을 갖춰 놓지 않은 상태에서 책임은 나머지 학교와 교원들에게만 넘기는 식"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육계에선 수능이 1주에서 2주가량 연기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현재 발표된 수능 날짜는 11월19일이다. 1주 연기되면 11월26일, 2주라면 12월3일 치러진다.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따라 교육부는 수능 시험과 성적 통지 등 일정을 31일까지 확정해 발표해야 한다. 수능은 1993년(1994학년도) 도입된 이래 지금까지 세 차례 연기된 바 있다. 부산에서 아시아ㆍ태평양경제공동체(APEC) 정상회의가 열린 2005년, 서울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이 열린 2010년, 포항 지진이 발생한 2017년에 수능이 연기됐다.


이영덕 대성학력개발연구소장은 "수능을 연기해도 채점 일정을 당기면 크게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정시는 수능 점수로 지원하기 때문에 크게 복잡하지 않고 다만 수시 접수는 대학들이 서류 심사 등 일정이 빡빡하겠지만 불가능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