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中, '무증상 감염' 심각성 인식…"통계에 포함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증상자 접촉 2차 감염 지속 발생 리커창 "정보 은닉·누락 말라" 경고 비난 의식, 코로나19 통계 포함될 듯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무증상 감염자'의 잇단 출현에 긴장하는 분위기다.

리커창(李克强) 총리까지 나서 철저한 대응과 투명한 정보 공개를 촉구한 만큼 코로나19 관련 통계에 무증상 감염 사례도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31일 중국정부망에 따르면 리 총리는 전날 코로나19 대응업무영도소조 회의를 주재하며 "전염병 방역 성과를 공고히 하고 허점이 드러나는 것을 막아야 한다"며 "특히 무증상 감염자의 검사와 역학 조사, 격리, 치료를 잘 수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리 총리가 코로나19 무증상 감염을 언급한 것은 지난 26일 이후 두번째다.

당시 확진자와 의심 환자, 무증상 감염자를 뭉뚱그려 "지역사회에 더 깊숙이 들어가 근원을 철저히 조사하라"고 지시한 것과 비교하면 이번에는 무증상 감염에 대한 경계 수위가 더 높아졌다.

중국 방역 당국은 지역사회 감염이 잦아든 것으로 판단하고 역외 유입 차단에 주력해 왔으나 최근 무증상 감염이라는 새로운 변수와 맞닥뜨렸다.

무증상 감염은 고열과 폐렴 등 코로나19의 임상 증상이 없는 병례로, 14일간 격리 조치를 당하고 격리 기간 중 증상이 나타나면 확진자로 분류된다.

하지만 이미 감염된 상태인 만큼 밀접 접촉자를 감염시킬 위험이 높다. 실제 무증상 감염자에 의한 지역사회 내 2차 감염 사례가 나오면서 방역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지난 28일 허난성 뤄허시에서 발생한 확진자는 무증상 감염자와 함께 성묘를 다녀왔다가 감염됐다. 29일에는 후베이성 징먼시가 한 무증상 감염자의 동선을 공개하며 밀접 접촉자의 자발적 신고와 자가격리를 주문했다.

앞서 지난 19일에는 우한에서 새로운 확진자가 나왔다가 알려져 파장이 일었는데 해당 보건 당국은 확진자가 아니라 무증상 감염자라고 해명한 바 있다.

그동안 중국은 무증상 감염자를 확진자 통계에 포함시키지 않았는데 지역사회 재확산 우려가 커지면서 변화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날 리 총리가 주재하는 회의에서는 "각지는 정보를 공개적이고 투명하게 발표해야 한다"며 "병례를 '0'으로 보고하기 위해 숨기거나 누락하는 것은 절대 허용하지 않겠다"는 경고 메시지가 나왔다.

코로나19 발병 초기에 정보를 왜곡·조작해 사태를 키웠다는 비난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도 "무증상 감염이 대중에게 불안감을 가져다 주지 않으려면 공개적이고 투명한 정보에 의지해야 하며 변화에 순응해 과학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무증상 감염이 방역이 허점이나 블랙혹이 돼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제일재경은 정책 결정에 근접한 전문가를 인용해 "조만간 관련 부문이 무증상 감염자 통계를 사회에 공개하고 사례가 발생할 때마다 통보하는 제도를 만들 것으로 본다"고 보도했다.

해당 전문가는 "숨길 만한 게 아니다. 누구도 애써 은폐한 것은 아니며 단지 과거의 관례를 답습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지방정부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저장성은 전날 언론 브리핑에서 모든 무증상 감염자를 확진자와 같은 기준으로 관리·통제하기로 했다.

천광성(陳廣勝) 저장성 방역업무영도소조 판공실 부주임은 "무증상 감염은 현재의 전염병 통제에서 두드러진 위험이며 사회적 관심도 높다"며 "무증상 감염자는 14일간 병원에 격리하고 두 차례 핵산 검사에서 음성이 나와 퇴원을 해도 지정 시설에서 다시 14일간 격리된다"고 설명했다.

베이징도 자가격리자에 대한 전면적 검사를 시행하는 등 무증상 감염 통제 수위를 높이기로 했다.
베이징=이재호 특파원 qingqi@ajunews.com

이재호 qingqi@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