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화웨이, 美 제재 불구 작년 매출 148조원 ‘19.1% 급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화웨이 '2019 연차보고서' 발간 / 순이익 10.8조, 전년比 5.6% 증가

세계일보

화웨이 에릭 쉬 순환 CEO. 연합뉴스


중국 최대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가 지난해 8588억 위안(한화 약 147조9712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고 31일 발표했다. 이는 전년(2018년) 대비 19.1% 증가한 수치로, 미국 정부의 거래제한 조치 속에 거둔 성과여서 눈길을 끈다.

이날 화웨이가 공개한 ‘2019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순이익은 627억 위안(약 10조8032억원),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은 전년보다 22.4% 증가한 914억 위안(약 15조7482억원)으로 마감했다.

화웨이는 지난해 매출의 15.3%인 1317억 위안(약 22조6919억원)을 연구개발(R&D)에 투자했다. 지난 10년간으로 보면, 6000억 위안(약 103조3800억원) 이상이 연구개발에 들어갔다.

에릭 쉬 화웨이 순환 회장은 “2019년은 화웨이에게 매우 도전적인 한 해”였다며 “외부의 엄청난 압박에도 오로지 고객가치 창출에 전념했으며, 전 세계 고객과 파트너사의 신뢰를 얻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말했다.

쉬 순환 회장은 이어 “화웨이는 여전히 견고한 비즈니스를 이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세계일보

화웨이 홈페이지 갈무리.


사업 부문별로 보면, 화웨이 캐리어 비즈니스 사업부는 전년 대비 3.8% 증가한 2967억 위안(약 51조1214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화웨이는 5G 애플리케이션의 상용화 및 신규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전 세계 통신사와 5G 공동 이노베이션 센터들을 설립했다. 외진 곳에 있는 지역의 수요에 맞춰 설계된 루랄스타(RuralStar) 기지국 솔루션은 저개발 지역의 인터넷 접근성을 높였다. 루랄스타 솔루션은 현재 5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4000만 명 이상의 주민들에게 혜택을 제공했다.

화웨이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 사업부는 전년 대비 8.6% 증가한 897억 위안(약 15조455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 사업부는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들이 디지털 시대를 준비할 수 있도록 이들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전 세계 700개 이상의 도시와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에 포함된 228개 이상의 기업들이 디지털 전환 파트너사로 화웨이를 선택했다. 지난해 화웨이는 새로운 컴퓨팅 전략의 연장선에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AI 프로세서 어센드(Ascend) 910과 AI 훈련 클러스터 아틀라스(Atlas) 900을 출시했다.

화웨이 컨슈머 비즈니스 사업부는 전년 대비 34% 증가한 4673억 위안(약 80조515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화웨이는 지난해 총 2억4000만 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하며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쉬 순환 회장은 “대외 환경은 더욱 복잡해질 것”이라며 “화웨이는 지속적으로 제품과 서비스 경쟁력을 높이고, 동시에 오픈 이노베이션을 촉진하며, 고객과 사회 전반에 더 큰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바로 이러한 방향이 디지털 및 지능형 전환 시대가 선사하는 역사적 기회를 잡고 장기적으로 견고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덧붙였다.

현화영 기자 hhy@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