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골목상권 코로나19 직격타…6개월 후면 60% 폐업 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휴업·폐업하는 매장들이 늘어가는 가운데 지난달 31일 오후 중구 명동 음식점에 테이블이 놓여져있다.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영세 소상공인 등 골목상권 10곳 중 6곳은 6개월 이상 버티지 못하고 폐업할 것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로 경영이 악화한 2∼3월의 평균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반토막 날 것으로 예상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24개 주요 골목상권 업종을 대상으로 경기 현황과 내년도 최저임금 의견 등을 설문 조사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의류·가구점 등 24개 골목상권 업종의 2∼3월 평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2.8%, 평균 순이익은 44.8% 각각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조사대상 24개 업종 중 22개가 매출이 감소할 것이라고 답했고 업종별로는 의류점(-85.0%), 가구점(-80.0%), 금은방(-70.0%) 등이 극심한 부진을 예상했다. 코로나19로 대면 거래 대신 온라인 거래가 늘면서 택배업종은 유일하게 매출이 5%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경영악화가 지속될 경우 폐업하지 않고 얼마나 유지할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63.4%가 6개월은 한계치로 꼽았다. 0∼4개월 버틸 수 있다는 응답이 46.7%, 4∼6개월 버틸 수 있다는 답변이 16.7%로 조사됐다.

최근 경영악화 원인으로는 경기 위축과 방문객·이용객 감소에 따른 판매 부진(93.3%) 때문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이어 최저임금·4대 보험료 등 인건비 상승(50.0%), 임대료 상승(20.0%), 동일 업종 소상공인 간 경쟁 심화(10.0%), 대출 증가에 따른 원리금 부담 확대(6.7%)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에 따른 골목상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단기 정책으로는 부가가치세·소득세 등 세금감면 및 납부기한 연장(59.4%)과 각종 지원책 신청 절차 간소화 및 신속한 지원 여부 결정(53.1%)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내년도 최저임금을 어느 정도 수준으로 정하는 것이 적당한지에 대해서는 ‘동결’이 58.1%로 가장 많았고 ‘인하’는 25.8%, ‘인상’은 16.1%로 나타났다.

최저임금 제도개선을 주장하는 응답 중에서는 '지역별·업종별 차등 적용'을 요구하는 답변이 65.6%였고, 최저임금 상승분 지원 확대(46.9%), 최저임금 산정기준 현실화(21.9%), 산입범위 확대(15.6%) 등 의견이 나왔다.

한경연 추광호 경제정책실장은 “골목상권은 이미 작년부터 실물경제 위축과 최저임금 급등의 영향으로 매우 어려웠는데, 코로나19까지 겹치며 한파가 몰아치고 있다”며 “영세 소상공인의 생존권을 담보하기 위한 금융·세제 지원책 강화와 신속 집행이 필요하며 최저임금 역시 인상을 자제함으로써 골목상권 타격을 줄여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