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각계각층서 긴급사태 선언 촉구하는데...결단 못내리는 日아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본 정부 전문가 회의, 의료붕괴 경고
일본 제1,2 야당, 도쿄도지사도 '긴급사태 선언' 촉구
아베 총리 "지금은 그런 상황 아니다" 반복


파이낸셜뉴스

지난 1일 일본 국회에서 마스크를 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상. 로이터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쿄=조은효 특파원】 일본 내 코로나19 감염자가 3000명을 넘어서면서 긴급사태 선언을 촉구하는 각계각층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차일피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결정이 늦어지고 있다. 도쿄의 확진자수(587명·1일 오후 6시30분 기준)는 이미 서울(488명·2일 0시 기준)을 넘어선 상태다.

아베 총리는 2일 중의원 본회의에서 코로나 확산 상태와 관련 "현시점에서는 아직 전국적이고 급속한 확산의 상황엔 이르지 않았다"고 밝혔다. '전국적이고, 급속한 확산'은 긴급사태 선언의 요건이다. 이 말은 지금은 긴급사태 선언을 할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다.

아베 총리는 전날 역시 "지금은 긴급사태를 선언할 상황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긴급사태 선언을 위한 법개정을 완료하고, 대책본부까지 차리는 등 선언에 필요한 모든 절차를 구비한 상태이나, 아베 총리의 결단이 늦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일본 의사회를 필두로, 일본 정부의 코로나 대책 전문가 회의, 경제계, 코이케 유리케 도쿄도지사, 심지어 일본 제1·2 야당 당수까지 나서서 조속히 긴급사태를 선언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입장을 밝혔다.

특히, 일본 의사회나 대개 의학전문가들로 구성된 일본 정부의 코로나 대책 전문가회의에선 '의료붕괴'를 경고하고 나섰다. 전날 일본 정부의 전문가 회의 측은 기자회견을 열어 "폭발적인 감염(오버슈트)이 발생하기도 전에 의료 붕괴(기능 부전)가 일어날 수 있다"며 "오늘 내일이라도 특단의 대책을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같은 날 일본의사회도 '의료 위기적 상황 선언'이라는 성명을 발표하고 일본 의료 현장이 위기를 맞고 있다고 경고했다. 일본의사회는 성명에서 "일부 지역에서는 병상이 부족해지고 있다"며 코로나19 감염자가 더욱 증가할 경우 의료 현장 대응력을 뛰어 넘게 된다고 지적했다.

파이낸셜뉴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파가 끊긴 요코하마 최대 상권인 차이나타운. AP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 지사도 지난 달 31일 총리관저에서 아베 총리와 면담 직후 기자들에게 "국가로서 판단이 현재 요구되는 상황이 아닌가"라며 긴급사태 선언을 촉구했다. 3대 경제단체 중 하나인 경제동우회 사쿠라다 겐고 대표간사도 "질질 끄는 것보다 단번에 입원해 빨리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의 에다노 유키오 당 대표와 제2야당인 국민민주당 다마키 유이치로 당 대표까지 나서서, 망설이고 있는 아베 총리를 압박했다. 아사히는 그러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정부 내에서는 긴급사태 선언을 해야한다는 말을 듣지 않는다"며 일본 정부의 분위기를 이같이 전했다.

'자본 봉쇄'로 인한 경제 충격을 우려해 신중을 기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민간 싱크탱크인 다이이치세이메이 경제연구소는 한 달간 이동이 엄격히 금지되는 도쿄 봉쇄가 수도권 전역을 대상으로 한 달 간 실시될 경우 약 8조9000억엔(약 100조원)의 국내총생산(GDP)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아베 총리의 결단이 늦어지는 가운데 젊은층을 중심으로 '코로나 피로감'도 일부 엿보이고 있다. NHK가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일까지 도쿄에서 코로나19로 확진된 416명을 분석한 결과 약 39%인 163명이 만 40세 미만이었다. 2030대가 감염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 코로나 사태가 길어지면서, 2030대에서 이에 대한 경각심이 약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