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8 (화)

광주형 일자리 ‘삐걱’…경북 구미·울산형 일자리는 어떻게 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추진중인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 중 중 첫 모델격인 광주형 일자리가 삐걱거리고 있다. 경북도와 울산·구미 등은 사회 통합형 일자리를 내세워 대기업 공장 유치 방식으로 상생형 일자리 사업을 끌어가고 있다.

노사 상생형 지역 일자리를 처음 제시환 광주형 일자리른 노동계 반발로 좌초 위기를 맞고 있다.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등 지역 노동계는 2일 “2014년 이후 지난 6여 년 동안 함께했던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중단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노사 상생을 내세웠던 광주형 일자리가 노동계의 불참 선언으로 ‘반쪽짜리’가 된 모양새다.

광주시는 노동계의 동참을 호소하면서 광주형 일자리 정책 추진을 다짐하고 있다. 2018년 6월과 12월 임단협 조항을 이유로 반발했다가도 또 다시 광주형 일자리 논의에 복귀했던 전례 때문으로 보인다. ㈜광주글로벌모터스는 지난 해 9월 이후 빛그린국가산업단지에 공장을 조성중이며 2021년 하반기부터 현대차의 위탁을 받아 경차를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광주와 달리 후발 상생형 일자리 사업은 잇따라 큰 성과를 내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그간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광주 뿐 아니라 다른 지역으로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펼쳐왔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북도와 구미시는 2019년 7월 엘지화학과 투자협약식을 열고, 5000억원을 투자해 전기차 배터리 양극재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울산광역시도 현대모비스와 여섯달 동안 협의를 거쳐 지난 해 7월 전기차 배터리팩·구동모터 등을 생산하는 공장을 짓기 위한 3252억원의 투자를 끌어냈다.

구미·울산형 일자리 공장은 기업의 직접 투자로 투자금액도 많고 동종 업계와 유사한 수준의 임금을 보장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노총 광주본부는 이날 “5754억원 짜리 광주형 일자리 공장을 짓는데 현대차는 겨우 400억원을 투자한다”며 “그런데도 적정임금(주 44시간 평균 초봉 연 3500만원)을 통한 이윤은 현대차가 챙겨가고, 협력사 노동자들에게는 한푼도 줄 수 없다는 것은 공정하지 못한 거래”라고 말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연속보도] n번방 성착취 파문
▶신문 구독신청▶삐딱한 뉴스 B딱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