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이용섭 시장 못 믿겠다"…한국노총 광주형 일자리협약 파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노동계, 광주시장 불신…"문재인 정부가 책임져야"

"현대차 퇴직자·퇴직공무원 요직에 앉혀" 지적

이용섭 시장, 노동계에 광주형 일자리 동참 요청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문재인 정부가 최대 치적 중 하나로 자랑해온 노사민정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인 ‘광주형 일자리’가 좌초위기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은 2일 ‘광주형 일자리’ 협약 파기를 선언하고 광주형 일자리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데일리

2일 오후 광주 서구 광주시청 앞 광장에서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가 광주형 일자리 불참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일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는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형일자리가 비민주적, 비상식적으로 추진됐으며 정치놀음으로 전락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광주시가 지나칠 정도로 현대차에 의지하고 있다”며 “현대차와 광주시 사이에 맺은 협약서를 공개하고, 향후 계획에 대해 투명하게 알리고 공론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노동계는 박광태 전 광주시장을 합작법인 광주 글로벌모터스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현대차 퇴직자, 퇴직 공무원 등을 요직에 앉히고 있다며 인사 과정도 문제 삼았다.

이들은 이용섭 광주시장에 대한 불신을 나타내며 문재인 정부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동계는 광주에는 대기업이 400여억원을 투자하지만 부산, 울산, 구미에는 수천억대 투자가 줄을 잇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세밀한 점검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노총 광주본부는 “광주형 일자리 추진과정에서 노동을 동원대상화 해 불참을 결정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민주노총에 대화와 토론을 제안하면서, 동참을 요청했다.

노동계의 이같은 입장 발표에 앞서 이용섭 광주시장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 노사민정은 지난해 1월 31일 광주시와 현대차 간 투자협약을 체결하고 광주글로벌모터스를 설립해 23년만에 국내 자동차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며 “공사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내년 9월 완성차 양산 계획에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투자협약 내용에 본질적으로 위배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노동계에서 협약 파기 이유로 내건 여러 요구 사항을 모두 수용한다”며 노동계의 동참을 호소했다.

이 시장은 광주시가 지난해 1월 31일 맺었던 투자협약과 상생협정서의 원칙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시장은 △적정 임금 △적정 노동시간 △원하청 상생 방안 △노사 상생 △사회통합 일자리 협의회 구성 △지난해 1월 31일 투자협약서 공개 등 6개 항목의 노동계 요구 사항과 시의 입장을 설명했다.

이 시장은 한국노총에서 요구한 사회통합 일자리 협의회 구성, 투자협약서 공개 요구도 적극적으로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노동계가 강조한 ‘노동이사제’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노사민정협의회에서 체결한 협약서에 노동이사제를 포함하지 않기로 최종 합의했다는 이유에서다.

이데일리

지난해 12월 광주 광산구 삼거동 빛그린국가산업단지에서 광주형 일자리 완성차 공장 기공식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