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文대통령 “제주 학살 현장 날조 낱낱이 밝혀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文대통령, 2018년 이어 2년 만에 다시 4·3 추념식 찾아

국회 향해 "4·3 특별법 개정 지원해달라" 촉구

이데일리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2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마친 뒤 좌석으로 향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3일 2년 만에 다시 제주 4·3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제주 4·3이라는 원점으로 돌아가 그날, 그 학살의 현장에서 무엇이 날조되고, 무엇이 우리에게 굴레를 씌우고, 또 무엇이 제주를 죽음에 이르게 했는지 낱낱이 밝혀내야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2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그렇게 우리의 현대사를 다시 시작할 때 제주의 아픔은 진정으로 치유되고, 지난 72년, 우리를 괴롭혀왔던 반목과 갈등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부당하게 희생당한 국민에 대한 구제는 국가의 존재 이유를 묻는 본질적 문제”라며 국회에 4·3 특별법 개정안을 통과시켜달라고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정치권과 국회에서 4·3 특별법 개정에 관한 특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한다”고 했다.

4·3 특별법 개정안은 △집단학살 암매장지 조사와 유해발굴 △학살 사건 진상규명 조사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배·보상 △피해자 명예회복 △4·3 트라우마 치우센터 설립 등이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계류된 상태다.

문 대통령은 “너무 오래 지연된 정의는 거부된 정의”라는 미국 마틴 루터 킹 목사의 말을 인용하면서 “법에 의한 (피해자에 대한) 배·보상은 여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더딘 발걸음에 대통령으로서 마음이 무겁다”라고 고개를 숙였다.

이어 “국가는 아직 가장 중요한 생존 희생자와 유족들에게 국가의 도리와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피해자와 유가족들이 생존해 있을 때 실질적인 배·보상이 실현되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4·3 해결은 결코 정치와 이념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생명과 인권을 유린한 잘못된 과거를 청산하고 치유해 나가는 정의와 화해의 길”이라고 규정했다. 아울러 “진실의 바탕 위에서 4·3 피해자와 유족의 아픔을 보듬고 삶과 명예를 회복시키는 일은 국가의 책무”라며 “4·3은 더 나은 세상을 향해가는 미래 세대에게 인권과 생명, 평화와 통합의 나침반이 되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4·3희생자 추념식은 코로나19 사태를 고려해 간소하게 치러졌다. 2년 전 추념식에는 1만5000여명이 참석했지만, 이날 행사에는 100분의 1 수준인 150여명이 참석했고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을 위해 참석자들은 야외에서 2m 이상 거리를 두고 자리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