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모든 입국 외국인 ‘활동범위 제한’ 조치 시행…위반시 형사처벌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법무부는 지난 1일부터 해외에서 입국하는 내‧외국인에 대한 2주간 격리 조치 의무화 후속 조치로 모든 입국 외국인에게 출입국관리법 제22조에 따라 '활동범위 제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고 3일 발혔다.

이에 따라 4월1일 이후 입국하는 모든 외국인에게는 입국심사단계에서 출입국관리공무원이 주거 제한, 격리 시 생활수칙 준수, 위반에 따른 법적 불이익 등이 규정된 법무부장관의 '활동범위 제한통지서'가 발급되고 있다.

활동범위의 제한은 공공의 안녕질서나 대한민국의 중요한 이익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법무부 장관이 대한민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에 대해 거소 또는 활동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그 밖에 필요한 준수사항을 정하는 행정명령이다. 이를 위반한 외국인은 출입국관리법 제94조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돼 있다.

법무부에 따르면 지금까지 출입국관리법 제22조가 실제로 적용된 경우는 없었으나, 해외 유입 감염병 예방을 위해 최초로 시행됐다.

따라서 격리 조치를 위반한 외국인에 대해서는 검역법이나 감염병예방법에 의한 처벌과 별도로 외국인의 행위가 공공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고 인정되면 출입국관리법 제11조 및 제46조에 따라 강제퇴거나 입국금지 처분 외에도 징역형이나 벌금형 등 형사처벌도 가능해졌다.

법무부는 '이러한 조치를 시행한 것은 최근 입국한 외국인들이 검역‧방역당국의 자가격리 조치를 준수하지 않고 마스크도 착용하지 않은 채 외부활동을 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코로나19의 확산 차단과 공공의 안전을 위해 활동범위 제한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앞으로 격리 조치에 불응하거나 격리장소를 무단이탈하는 외국인은 출입국관리법 제11조나 제46조에 따른 강제퇴거나 입국금지 등 처분 이외에도 출입국관리법 제22조 위반에 따른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법무부는 모든 격리대상 외국인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 없이 격리장소를 무단으로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하고, 활동범위 제한 통지서에 기재된 준수사항을 반드시 지켜 줄 것을 강조했다.

songbk@kukinews.com

쿠키뉴스 송병기 songbk@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