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투자 OECD 회원국 최하위 수준 “저성장 본격화 전 투자 경험 쌓아야”
제로금리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로금리가 무엇인지부터 자세히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제로금리는 경제학적으로 여러 의미가 있으나, 통상 1년 미만의 단기금리를 0%에 가깝게 만드는 정책이다. 중앙은행이 이자를 받지 않고 시중은행에 자금을 필요한 만큼 무제한으로 공급한다는 의미다.
이 같은 제로금리가 현실화되면 1600조원이 넘는 가계부채 채무자의 이자부담이 줄어들고 민간 소비를 활성화시켜 경기 침체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반면 너무 많은 자금이 공급돼 가계부채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주택 가격이 급등해 부동산 시장의 거품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장기적으로 이자수입 감소와 자산 가격 하락을 불러온다. 곧 은퇴할 베이비부머에 대한 걱정이 여기저기서 나오는 것도 이 같은 저금리 현상과 연관이 깊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0%대 초저금리 상황을 '밑 빠진 독'에 비유하기도 한다. 금리가 너무 낮아 자산 증식에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려, 그야말로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것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금리를 5%로 가정하면 예금에 1억원을 넣어두면 두배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4년이다. 그러나 금리가 0.5%로 낮아지면 그 기간도 140년으로 늦어진다. 사실상 예금주가 살아있을 때 두배까지 늘어날 일은 없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반대로 저금리 상황을 활용하겠다고 생각할 수 있다. 대출금리도 낮아지는 만큼 돈을 빌려 위험자산에 투자한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유럽이나 일본이 이미 경험하고 있듯이 제로금리는 홀로 다가오기보다는 고령화에 따른 디플레이션(deflation) 및 저성장과 함께 오는 경우가 대다수다. 이들을 한꺼번에 맞이하게 되면 초저금리·제로금리보다 디플레이션·저성장이 더욱 영향력을 발휘하는 경우가 많다.
결국 대규모 대출을 받더라도 이를 활용할 만한 투자 기회가 많지 않아진다는 의미다. 때문에 재테크 관점에서 대출을 크게 늘리기도 어렵다. 아울러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1600조원을 넘어 사상최대로 부풀어 오른 만큼, 초저금리·제로금리 시대에 접어들더라도 대출을 받기가 여전히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디플레이션과 저성장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둘의 영향으로 투자 부진이 이어지고 경제와 기업 전반의 생산성·효율성이 저하되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같은 현상은 경기 위축을 야기할 수 있다. 초저금리·제로금리가 디플레이션과 결합해 마이너스 물가에 따른 실질금리가 상승하면 소비와 투자는 한층 더 위축될 수 있다. 이 경우 가계에서도 현금·예금 확보만 신경 쓰는 보수적 성향이 굳어지게 된다.
그러나 일본의 사례를 살펴보면 현금·예금에 투자하는 것은 투자 실패로 이어지기 십상이다. 결국 부동산과 주식 등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처를 찾을 수밖에 없다. 우리보다 제로금리 시대에 먼저 접어든 일본의 사례를 감안하면 부동산이 주식보다 나은 선택으로 보인다. 다만 은행 금리가 0%대로 떨어지는 만큼 전세보다는 월세나 임대 위주로 운영해야 한다.
그렇다고 은행을 기피할 필요는 없다. 자금 대부분을 예금하는 것은 악수(惡手)가 될 수 있으나 핀테크 등 편리한 지급결제 수단을 활용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 예금을 보유할 필요가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투자다. 저금리·저성장 현상이 고착된 국내보다 성장하는 시장과 기업이 해외에 더 많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해외투자의 중요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외화에 대한 투자도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해외·외화투자에 대한 리스크 헤지(위험 회피책) 마련도 필요할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재 우리나라 사람들의 해외투자 비중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 수준"이라며 "국내 시장에 저금리·저성장 현상이 본격화되기 전 해외투자에 대한 경험을 쌓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동 기자 dong01@ajunews.com
윤동 dong01@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