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자본연 , '단기자금 경색은 기업 부도 전조' 경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류병화 기자 = 기업들이 유동성 위기 때 기업어음(CP)와 전단채 시장 등 단기자금시장에서 먼저 부도가 발생할 수 있어 이 시장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반적으로 CP, 전단채 시장의 수익률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7일 자본시장포커스 2020-08호 '코로나19로 인한 CP 및 전단채시장의 유동성 경색에 대한 우려'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황 연구위원은 "CP·전단채시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만기라는 특성으로 인해 회사채시장에서 자금조달이 어려워진 이후에도 조달이 가능한 경우가 흔히 나타난다"며 "이런 이유로 회사채시장에서 부도가 발생하기 이전에 보통 CP·전단채 시장에서 먼저 기업부도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후 부도로 인한 위기상황은 회사채시장으로 급속히 전이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CP·전단채시장이 갖는 이러한 특성으로 위기상황에서는 이들 시장에서의 가격, 자금흐름의 변화를 주의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며 "가격지표나 변동성지표가 급격히 상승할 때 정책당국의 유동성 공급은 회사채 시장과 더불어 CP·전단채 시장에 집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CP·전단채시장 발행잔액 분석에서 가장 우려스러운 부분은 CP와 전단채의 절대적인 부분이 금융과 보험업종의 기업에 의해 발행되고 있다는 점"이라며 "일반 CP 발행잔액의 63.5%, 일반전단채 발행잔액의 59.3%,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와 AB전단채 발행잔액의 거의 대부분이 금융 및 보험업종의 기업이 발행하고 있어 CP와 전단채 시장에서 유동성이 증발할 경우 가장 크게 타격을 받을 수 있는 영역이 금융섹터임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자본연에 따르면 CP·전단채 시장의 규모는 발행잔액 기준으로 지난달 말 기준 약 246조원으로 이중 CP 발행잔액이 188조원, 전단채 발행잔액 58조원이다. CP시장은 일반CP의 경우 발행잔액이 64조원, ABCP의 경우 발행잔액이 124조원으로 집계됐다.

황 연구위원은 "발행잔액 만기 분포로 볼 때 일반CP와 전단채는 3개월물의 발행비중이 높으며 ABCP는 6개월 이상의 만기 발행비중이 높다"며 "발행잔액 기준으로 살펴볼 때 코로나19사태로 인해 CP와 전단채시장에서 유동성 위축이 심화되고 있다고 판단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CP와 전단채 시장의 유동성 축소는 발행잔액 기준보다 가격에서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황 연구위원은 "지난달 16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했지만 CP와 전단채 시장에서의 수익률은 큰 변화가 없었다"며 "대표적인 단기금융상품인 CP와 전단채 수익률은 기준금리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편이나 지난달 23일 이후의 수익률은 기준금리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단기자금시장에서 신용위험에 대한 우려가 급격히 커지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그는 "CP와 전단채 매입 프로그램이 의도한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운용에 있어 원칙들이 세밀하게 정비될 필요가 있을 것"이라며 "먼저 CP, 전단채 매입 프로그램은 개별 발행기업에 대한 유동성 공급 차원이 아니라 전체 CP, 전단채 시장을 안정화시켜 수익률이 안정될 수 있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수익률이 안정될 경우 발행도 더 원활해질 가능성이 높아져 매입대상 발행기업의 신용등급을 일정 수준이상으로 제한하고 개별 발행기업에 대한 매입한도를 설정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아울러 코로나19로 인해 기업의 신용등급이 하향조정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신용등급의 판단 시기를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이전의 시점으로 설정하는 방식이 필요해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외에도 CP와 전단채 매입을 위한 재원조달 방식을 중앙은행의 발권력을 동원해 매입하는 방안과 증권사들에 대한 유동성 지원 등의 검토를 촉구했다.

황 연구위원은 "정책금융기관을 활용해 CP와 전단채 매입을 진행하면 정책금융기관이 다시 시장에서 채권발행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며 "현재와 같이 위기상황에서는 시장의 유동성이 작아 정책금융기관의 채권발행은 시장금리를 상대적으로 더 높게 상승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때문에 미국의 사례처럼 중앙은행이 발권력을 동원해서 CP와 전단채를 매입하는 재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라며 "다만 신용위험을 통제하기 위해 정부가 기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중앙은행이 매입하는 CP, 전단채에 대해 신용보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보완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또 "증권사는 부동산 PF에 관련된 채무보증이 커져 있어 유동성에 관한 리스크 관리에 추가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현재 신용등급 기준을 만족시키고 가산금리 부과를 전제로 증권사가 발행하는 CP, ABCP, 전단채를 매입 대상으로 포함시키는 방안이나 증권관련 유관기관을 경유해 단기 유동성을 공급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wahw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