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물 속 항생물질 없애주는 착한 가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석으로 회수 가능하고 빛 쪼여 여러번 재사용
KIST 정경원·최재우 박사, 다공성 탄소복합 소재 개발


파이낸셜뉴스

축사에서 나오는 오폐수를 정화할때 KIST 연구진이 개발한 다공성 탄소복합 소재로 물 속에 녹아 있는 항생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게티이미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가루모양의 소재로 물 속에 녹아 있는 항생물질을 제거하는데 성공했다. 이 소재는 자석을 이용해 다시 회수하고 별다른 처리 없이 빛만 쪼여주면 여러번 재사용이 가능해 효율적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물자원순환연구센터 정경원, 최재우 박사팀이 물 속 항생제를 걸러낼 수 있는 금속과 유기물 혼합한 다공성 탄소복합 신소재를 개발했다.

KIST 최재우 연구원은 8일 "축사에서 나오는 오폐수를 정화할때 이 소재를 사용하면 물 속에 녹아 있는 항생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실험실 수준이지만 이 소재로 물 속 항생제를 100%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항생물질은 철 성분에 잘 달라붙는다. 연구진은 이런 흡착 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페트병을 재활용해 골격으로 만들고 내부에 철 입자를 알알이 박아넣는 형태의 소재를 만들었다. 즉 페트병에서 테레프탈산을 뽑아내 철성분을 결합해 새로운 소재를 만든 것이다.

연구진은 개발한 다공성 탄소복합 소재를 물 속에 있는 세균 감염치료용 항생물질 '테트라사이클린' 흡착효율을 테스트했다.

실험결과 다공성 탄소복합소재 1g으로 약 671㎎의 항생물질을 흡수했다. 최재우 연구원은 "테트라사이클린 뿐만아니라 다른 종류의 항생물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렇게 항생물질을 흡수한 소재는 자석으로 모두 회수한다. 연구진은 이 소재가 자성을 띄어 정화시설에서 대량으로 사용하더라도 외부 환경에 유출되지 않도록 자석으로 회수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파이낸셜뉴스

KIST 정경원·최재우 박사팀이 만든 다공성 탄소복합 소재는 자성을 띄어 자석으로 회수가 가능하다. 병에 자석을 갖다 대자 물 속에 있던 소재가 자석에 달라 붙었다. KIST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이 소재는 여러번 재사용이 가능하다.

항생물질을 흡수한 다공성 탄소복합 신소재를 회수한 뒤 햇볕이나 빛을 쪼여주면 항생물질이 분해가 되면서 소재에서 떨어지게 된다. 연구진은 이렇게 5회 이상 반복한 실험에도 항생물질 흡착 효율이 90%이상 유지됐다고 밝혔다.

최 연구원은 "플라스틱이라는 폐자원 재활용 관점에서 접근해 고효율의 소재 개발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향후 항생물질 말고도 환경호르몬 물질까지 처리할 수 있는 나노구조의 복합체를 만드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재활용 #KIST #축사 #항생제 #페트병 #오폐수 #정화 #테트라사이클린 #흡착 #자성 #철 #테레프탈산 #폐자원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