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브이티바이오, 치매치료제 미국 임상시험 지원 과제로 선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반준환 기자] [보건산업진흥원 지원과제]

브이티지엠피의 자회사인 ㈜브이티바이오와 경희대학교 배현수 교수팀은 ‘조절 T세포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자가세포 치료제’ 기술을 이용해 미국에서 1/2a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과제를 기획해 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바이오의약품 부분 지원과제에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세계 최초의 자가 면역세포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기존의 치매치료제의 개념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며, 미국 FDA 임상을 통해 기술수출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브이티바이오 관계자는 "글로벌 1위 임상시험 위탁기관(CRO)인 코반스와 미국내 1/2a임상시험에 대한 가능성 및 절차와 일정에 대한 논의를 완료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미국 FDA의 임상시험 계획서 제출(INDA)전 진행절차인 Pre-IND 미팅의 제출자료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코반스팀을 통해 GAP ANALYSIS를 진행해 긍정적인 결과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후 추가 종양원성에 대한 유무 시험진행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이에 대한 시험을 진행했으며 추가실험을 통해 종양원성이 없음을 확인했다"며 "이전까지는 조절 T세포의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치료기전(MOA)이 생소하고 어려워 이에 대한 외부평가가 쉽지 않았으나 이번 보산원 과제 선정을 통해 이러한 어려움이 해결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분야는 퇴행성 뇌질환의 일종으로 최근까지도 의학적 미충적 수요가 매우 높은 분야 중 하나다. 제약사들의 연구 접근이 베타아밀로이드를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으로 판단하고 접근하는 방식이었으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 저분자 및 펩타이드, 항체 등 여러가지 원료로 전세계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험됐다.

하지만 빅 파마들도 대부분 실패의 경험을 보고 있는 상황이라 품목화된 치료제는 아직 전무한 실정이다. 학계에서는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바이오마커에 대한 재평가와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바이오마커에 대한 연구와 이론의 정립 그리고 초기 또는 그 이전인 경도인지장애(MCI) 단계에서의 질환의 관리가 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회사 관계자는 "조절 T세포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자가세포 치료제의 국내 임상 1상은 서울대학교 이동영 교수팀과 함께 진행하며 안정성 및 유효성 평가가 함께 진행될 예정"이라며 "치료제 개발 성공시 루게릭, 헌팅턴, 다발성경화증등 뇌질환 관련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준환 기자 abcd@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