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아베 '늦장대응' 기업 줄도산 키우나…벌써 45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강기준 기자]
머니투데이

코로나19 긴급사태가 선포된 8일 도쿄 하라주쿠 거리 모습. /AFPBBNews=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인한 미국과 일본 기업 파산이 급증하고 있다. 봉쇄조치로 인한 영업중단, 소비 위축 등으로 영세기업들을 중심으로 버티기에 한계가 오기 시작한 것이다. 일본은 뒤늦게 긴급사태를 선포한 만큼 앞으로 줄도산 사태가 벌어질 것이란 예상이다.

8일 일본 민간신용조사기관인 도쿄 상공 리서치(TSR)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올해 코로나19 관련 일본내 파산 신청 및 준비 중인 건수는 총 45건에 달했다.

파산신청 준비 25건을 제외한 도산은 20건이 발생했는데, 2월 3건, 3월 12건, 이달 들어선 일주일새 7개 업체가 파산하는 등 증가세가 가속화하는 모습이다.

지역별로 나눠보면 확진자 1195명으로 일본 최다를 기록중인 도쿄도에서는 6건, 이어 홋카이도(5건), 효고현(4건), 오사카와 후쿠오카현이 각각 3건순이었다.

업종별로는 숙박업이 12건(파산 5건, 준비 7건), 음식업( 파산 3건, 준비 4건), 식품 제조업이 6건(파산 3건, 준비 3건)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의류 판매업 등이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았다. TSR은 서비스업과 소매업을 비롯해 출판업, 제조업 등으로 경영 위기가 확산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일, 7월 도쿄올림픽 개최 등에만 집착하자 코로나19 대응을 너무 늦게 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아베 총리는 지난 7일에서야 코로나19 긴급사태를 선포했다. 이와함께 108조엔(약 1215조원) 규모의 경기 부양책도 공개했다.

대상 지역은 도쿄도와 인근 사이타마현·지바현·가나가와 3현, 이밖에 오사카부, 효고현·후쿠오카현 등 7개다. 기간은 1개월이다. 긴급사태 선언이 발령되면 정부와 지자체가 공식적으로 국민들의 외출 자제 및 상점들의 운영 중단을 요청할 수 있다.

긴급사태 적용 첫날부터 이들 지역에선 백화점과 거리 상점이 상당수 영업 중단에 들어간 데다가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도 늘고 있어 영세업체들의 경영난은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후 12시 기준 일본내 코로나19 확진자는 총 4490명이다.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712명)까지 합치면 전체 확진자는 5202명이다.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은 지난해에도 태풍과 소비세 인상으로 숙박업과 음식점 등의 경영이 악화했는데 코로나19가 이들을 도산에 이르게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미 지난해 도산건수가 전년대비 6.4%에 증가할 정도로 기업 사정이 안좋은 만큼 올해 줄도산이 일어날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도 전망했다.

코로나19로 2주간 1000만명의 실업자가 발생한 미국도 파산 기업들이 늘고 있다.

이날 닛케이는 미 파산협회(ABI)를 인용해 올 1분기 파산보호를 신청한 미 기업이 총 1709개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7년만에 가장 많은 수치이기도 하다.

미국에서 코로나19가 본격화한 지난달에는 파산보호 신청 기업이 530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기준 기자 standard@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